•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나 아렌트 ‘행위(praxis)’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 (Contemplation on ‘Action, praxis’ of Hannah Arendt: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1.08
31P 미리보기
한나 아렌트 ‘행위(praxis)’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초등도덕교육 / 36호 / 55 ~ 85페이지
    · 저자명 : 박영주

    초록

    본 연구는 아렌트의 ‘행위(praxis)’에 대한 통찰력 있는 구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도덕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대안적 방안을 찾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아렌트는 인간의 행위가 개념화된 목적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것을 철저하게 비판하였다.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바로 자신의 의지밖에 없다는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행위를 판단해서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공론 영역을 제시하여 인간의 행위가 이기적인 판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막았다. 더 나아가 칭송받을 만한 행위에 대해서는 공론 영역에 회자되게 하여 인간 행위의 지향점을 역사적인 안목에서 스스로 찾도록 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인간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위를 최대한 자신의 의식을 기반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이성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론 영역에서 자신의 행위를 실현하여 자신의 행위와 관련된 이들의 모든 이야기를 경청하도록 하였다. 아렌트가 생각하기에 인간이 이러한 조건을 갖추게 되면 비록 행복이 무엇인지 규정할 수는 없더라도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아렌트의 관점을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입해 보면 개인과 공동체(공론 영역)가 모두 행복한 삶의 영위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개인과 공동체(공론 영역)의 관계가 갈등 관계가 될 수 있는 것과 그 해결책이 공리주의의 방법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아렌트의 의견과 다르다. 더불어 덕목이 추구하는 것으로 삶을 개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한 대목에서는 학생들의 행위가 수단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대두된다. 이 두 가지 우려할 점은 교실을 하나의 도덕적인 공론 영역으로 구성하여 모두가 자신의 이야기를 공론의 장에서 행위하게하고 교사는 자신의 행위를 그 자체로 목적이 되는 것으로 모범을 보이도록 한다면 보다 좋은 초등학교 도덕 교육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implications and alternative solutions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distinction with insights about 'praxis' of Hannah Arendt. Arendt throughly criticized downfall of human actions into a means for conceptualized purposes. He insisted that human oneself should judge one's own action and then, carry out the judgements - human should have firm faith that only one's own will can affect human action. Arendt also suggested the public sphere to prevent implementation of human action based on selfish judgement. Furthermore, she thought that respectable actions should be widely known in the public sphere because she put importance on seeking direction point from historical view by human oneself. She think that to live 'a happy life', one should carry out one's own action based on his own consciousness as much as possible. And to overcome incompleteness of reason, she suggested to realize one's own actions in the public sphere and made one carefully listen to all the stories told by persons related to one's own actions. In opinion of Arendt, if human is equipped with such a condition, human can live a happy life, even though to define happiness is not possible. When Arendt's viewpoint is applied to present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can be a common point that an individual and community(the public sphere)all pursue as an eventual purpose. But there are other opinions different from Arendt : there could be conflict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community(the public sphere), and its solution can be suggested in the way of utilitarianism. And in a paragraph where high possibility of conceptualization of life exists as a result of pursuing virtue, it is raised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the students' actions to be limited to scope of means. These two worried points can be overcome if a class becomes moral public sphere and everyone acts in the place of the public sphere, teachers can be a model through his own action which is a purpose itself. In conclusion, 'praxis' of Hannah Arendt can contribute to bette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등도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