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라시아-연해주 금속 루트와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계통 (The Origin of the Korean Bronzeware and Diffusion Routes of Eurasian Metallurgical Tra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0.08
39P 미리보기
유라시아-연해주 금속 루트와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4호 / 7 ~ 45페이지
    · 저자명 : 강인욱, 김경택

    초록

    정선 아우라지, 춘천 근화동과 천전리 유적에서 출토된 7점의 청동기를 중심으로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 및 초기 청동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물의 절대수가 많진 않지만, 모두 주거지 내부라는 확실한 출토 맥락에서 다른 유물들과 공반하여 출토되었고, 절대연대 측정치 산출되었기에 한반도로의 청동기 도입 과정을 구명하는 자료로 전혀 손색이 없다.
    한반도 초기 청동기의 기원은 멀리는 시베리아의 세이마-투르비노 유형이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세이마-투르비노 청동기 제작 전통은 동아시아에서 ‘카라숙 청동기’ 전통 내지 문화로 구현되었는데, 이는 전차와 강력한 마구와 무기를 발달시킨 유목민족을 통해 중국 장성지대뿐만 아니라 요서·요동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 그런데 이 청동기 제작 전통은 자바이칼을 거쳐 연해주를 포함한 극동지역과 두만강 일대로 연결되는 또 하나의 루트를 형성했는데, 마제석검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는 강력한 무기 대신 소형 장신구를 단조로 제작하는 지역화가 발생했다. 동북한 청동기 전통은 두만강 유역 흥성유형을 거쳐 기원전 13세기 전후로 돌대문토기 단계의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확산되었다.
    동북한 계통 청동기의 도입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즉, 제Ⅰ단계(기원전 13세기)는 단조로 제작된 청동기가 석제 장신구의 일부로 사용되는 시기이다, 제Ⅱ단계는 돌대문토기 후반~청동기시대 전기 전반(기원전 13~10세기) 장신구와 소형 노동도구가 제작되는 시기이고, 마지막 제Ⅲ단계(기원전 10~8세기)는 단조 기법에서 탈피하여 재가공된 동모와 같은 무기가 사용되는 천전리식 주거지 축조 시기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고고자료로 한정하면, 동북한 계통 청동기가 남한 청동기 제작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진주 대평리 옥방 출토 곡옥형 청동기는 동북한 청동기 전통이 남해안 일대까지 확산되었음은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이다. 다만, 서북한 지역 비파형동검 문화가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 형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쳤기에 동북한 청동기 전통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게 보일 뿐이다.
    동북한 계통 초기 청동기 전통은 한반도 청동기의 보급 연대를 상당히 소급했음은 물론, 그 기원을 유라시아 청동기의 보편성에서 살펴볼 근거를 제공했다. 다시 말해서, 기원전 15세기 무렵 발생한 동아시아 일대의 기후변화(한랭건조화) 및 인구 급감과 함께 세이마-투르비노 청동기 전통이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한반도도 이 영향권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정선 아우라지 출토 소형 장신구는 석제 목걸이를 감싸는 장신구의 일부분 역할에 머물렀으며, 주거지가 폐기되면서 동시에 폐기되었음은 한반도 중부에서는 청동기가 도입 과정부터 대단한 사회 변화를 촉발하거나 석기와 차별화된 위신재로 채택되진 않았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청동기 도입에 따른 본격적인 사회 변화는 청동기시대 중기 이후 청동기가 주거지가 아닌 고인돌이나 석관묘에 부장되고, 기종 역시 위신재로서의 상징성이 강한 동검 위주로 재편되면서부터 발생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반도 청동기 도입에서 유라시아적 보편성과 석검 위주의 사회가 지속되는 특수성은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주요 특징이며, ‘청동기시대’란 시대 명칭 대신 한반도의 특수성과 편의성을 강조한 ‘무문토기시대’라는 시대 명칭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다시 한번 천명한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seven bronze implements unearthed from Auraji site, Jeongseon and Geunhwa-dong and Cheonjeon-ri sites, Chuncheon, the origin and initial aspects of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thoroughly reviewed and analyzed. Although the number of bronze artifacts is quite small, only seven, all of them were unearthed in the evident archaeological context without any doubt, inside the semi-subterranean houses at these sites, along with associated artifacts.
    In addition, radiocarbon dates of these artifacts provide qualification as critical data for the investigation diffusion processes of bronzeware into the Korean Peninsula more than enough.
    The Korean Bronze Age originated from the spreading processes of Siberian Seima-Turbino Type bronzeware throughout Eurasia continent. The Seima- Turbino bronzeware tradition was implemented in East Asia as the ‘Karasuk Bronzeware culture’, and it also spread to the region of the Great Wall of China and Liaoning region via nomadic people equipped with chariots, harnesses and weapons. This bronzeware tradition explored another diffusion route through the Trans-Baikal region into the Far East including Maritime Province and the Tumen River where quite strong polished stone dagger tradition had been maintained. Instead of powerful weapons, localization to manufacture small-sized ornaments and tools for labor through forging technique occurred.
    The northeastern tradition of making bronzeware diffused into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tage of the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via Heungseong assemblage of Tumen River valley around the 13C BCE.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bronze too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13C BCE) was a period when the forged bronzeware was used as a part of a stone ornament, 13C BCE. The second stage(13~10C BCE), from the second half of the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phase to the first half of Early Bronze Age, was a period of making bronze ornaments and small tools for labor. The third stage (10~8C BCE) was a period of Cheonjeon-ri type house when reprocessed weapons (e.g. bronze spearhead at Cjeonjeon-ri site) were adopted instead of implements using the forging technique of the earlier stage.
    The influence of the northeastern bronzeware tradition on the making bronze tools of the South Korea was quite limited; however, considering bronzeware with the shape of comma-shaped jade unearthed at Okbang site at Daepyeongri, Jinju, it is quite clear that the influence had spread into the South coast. Due to the spread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roduced from northwestern region, little trace of northeastern tradition were left.
    The early northeastern bronzeware tradition not only raised the upper limit of the Korean Bronze Age considerably but also provided concrete base to reconsider the origin of Korean bronzeware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ality of the Eurasian bronzeware. In other words, along with climate change (being cold and dry) and rapid population decline in the East Asia around the 15C BCE, the Seima-Turbino bronzeware tradition spread throughout the whole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Maritime Province. Considering that a small bronze ornament at Auraji site of Jeongseon simply played a role to cover a part of a stone necklace and was discarded along with the pit house, the bronzware seems not to have trigger a significant social change and not to have been adopted as prestige goods distinguished from stone implements such as a polished stone dagger at least in the initial stage. The full-scale social change along with introduction of the bronzeware seems to have began to occur after the Middle Bronze Age when the bronzeware was buried in dolmens or stone cists rather than found at pit dwellings, and symbolic items such as a bronze dagger 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