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과 성으로 본 결혼이주여성의 배제와 차별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 by Nationalism and Gender)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1.06
44P 미리보기
민족과 성으로 본 결혼이주여성의 배제와 차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4권 / 2호 / 147 ~ 190페이지
    · 저자명 : 임경희, 김보경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민족’과 ‘성(gender)’적 요소가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그녀들의 구술사례를 통해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각기 다른 국적을 가진 5인의 결혼이주여성의 구술을 통해서 한국인들의 배제와 차별 상황의 구체적 내용과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인들은 해방 이후 들어온 근대 서구의 가치를 ‘우리 것인 양’ 내면화하여 흑과 백, 남성과 여성, 열등과 우등, 서구와 비서구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식민시대의 제국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민족주의 또한 한국인들에게는 ‘우리’를 중심으로 타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자리해 왔다. 우리와 타자를 구분하는 태도는 한국인들의 삶의 곳곳에서드러나지만, 특히 오늘날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태도에서 여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이분법적인 태도는 ‘민족’과 ‘성’이라는 요소를 통해 배제와 차별이라는 현실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족을 비롯한 일상생활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공적인 영역에서조차도 배제와 차별을 받고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그녀들은 출신국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대부분 문화와 언어 등을 통해서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인들의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대한 배제와 차별적 요소는 한국인에게 내재된 ‘민족’과 ‘성’이라는 요인과 깊은 관련이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술사례를 분석한 결과, 그녀들은 한국인이 ‘우리’라는 의식을 중심으로 그녀들과 그들의 자녀를 구분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를 통해서 자신들이 배제와 차별을 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성적인 요소를 통한 배제와 차별 역시 그녀들의 일상적인 삶 전반에서경험하고 있었다. 더욱이 성적인 배제와 차별은 결혼이주여성의 혼인 유형과 남편의 학력, 초/재혼의 변수에서는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인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의 형태로 표출된 ‘민족’과‘성’의 요소로서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sed on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d how "nationalism" and "gender" elements in Korea appear in the l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details and extent of thei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narratives of five women of different nationalities.
    Koreans have a tendency to internalize the values of the modern West that have seeped into the nation after liberation in 1945 as if the values were their own. In this respect, Koreans tend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black and white, male and female, inferior and superior, and the West and the non-West. Furthermore, nationalism that emerged as a reaction to imperialism in the colonial era became the standard for Koreans to discriminate via the “others” vs. “we” mentality.
    The attitude that differentiates “us” from “others” can be seen in many aspects of Korean life, but it is starkly evident in today’s attitude toward foreign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nationals. The dichotomous attitude toward such women exposes the reality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at is taking place through the elements of “nationalism” and “gender.”In Korea, immigrant wom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are excluded and discriminated against not only by their family members and other personal areas of their daily routines, but also in the public realms. Although there may be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one’s country of origin, most of these women are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rough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language. In particular, Koreans’ exclusion of immigrant women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against them are deeply related to the ingrained sense of “nationalism” and “sexuality.”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se women felt that they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wer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and excluded by Koreans based on the concept of “we.” These women also experienced gende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roughout their everyday routines.
    Furthermore, the level of gende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varied slightly depending on the of the immigrant women, the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irst/re-marriage variables. This confirms that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experiencing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elements of “nationalism” and “gender” expressed in various aspect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