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7.04
42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콘텐츠연구 / 24호 / 99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희정, 조영아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와서 살아가는 동안 경험하는 차별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이해를 갖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차별을 경험하였고 한국남성과 결혼하여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0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 면담자료를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3개의 주제묶음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가난한 이방인’, ‘무시하는 가족’, ‘견디며 맞섬’, ‘정착의지가 달라짐’ 이다. 참여자들의 차별경험의 본질은 첫째, ‘가난한 이방인’ 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외국인이고 못사는 나라 출신이라는 이유로 서러움과 소외를 경험하였고, 한국 사람들의 부정적 편견과 능력에 대한 저평가로 인해 불쾌함과 자존심이 상하하였다. 둘째, ‘무시하는 가족’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족 내에서 남편의 역할 및 경제적 지원이 자신의 기대에 못미치고 가족의 문제가 자신의 탓이 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셋째, ‘견디며맞섬’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차별에 대해 주변사람에게 지지를 구하거나출신국을 숨기거나 인내와 수용으로 견뎌냈다. 또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대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착의지가 달라짐’으로, 결혼이주여성은 결혼을 후회하고, 본국에 대해 그리워하거나 공평한 대우를 받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차별과 관련된 시사점을논의하였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and further understand the intrinsic and semantic natur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For this,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10 Married Migrant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and have faced discriminations during their residence in Korea.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13 theme clusters and 4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The 4 categories are as follows; ‘poor stranger’, ‘disdainful family’, ‘enduring and resisting’, ‘change in resettlement willingness’. Thes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s at first characterized as ‘poor stranger’ Many Married Migrant Women faced isolation and derision because they originate from poorer countries. Prejudice and underestimation coming from Koreans were also a source of these unpleasant experiences. The second was categorized as ‘disdainful family’. Many Married Migrant Women have shown disappointment in the inability to financially and domestically support their family. They experienced that family’s problem became all their fault. The third category, ‘enduring and resisting’ shows how Married Migrant Women deal with discrimination; Many were found to seek support from acquaintances, hide their nationality and endure with patience and acceptance. Also they coped discrimination with protest against unfair treatment using problemsolving methods. ‘Change in resettlement willingness’ being the last, many Married Migrant Women were found to regret their marriage and miss their home or treated fairly. Results shown above has been utilized to discuss the issue of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Migrant Women. Further research on the matter has been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