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세아니아주 지역의 한글문단 -호주 시드니를 중심으로 (The Korean Literary Circles of Oceania Region -Centering around Sidney City of Australia-)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3.09
45P 미리보기
오세아니아주 지역의 한글문단 -호주 시드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12호 / 113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명재

    초록

    오세아니아주는 태평양 건너 적도 이남에 자리하여 호주, 뉴질랜드 등을 아우른 공간이다. 한반도와는 지정학적으로 먼 곳이고 역사적으로 교류가 드물었던 지역이다. 그럼에도 호주로 이주한 한인의 역사 50주년을 지난 지금 시드니는 한글문학의 한 거점이 되었다. 현재 10만이 넘은 시드니 거주 한인들 사회 중심으로 여러 문예지를 꾸준히 발간하며 활발한 한글문단을 이루고 있어서이다. 따라서 국제화와 다문화적 교류가 빈번한 현대사회에서 시드니의 한글문단 접근은 한겨레문학과 세계문학의 이해에 중요한 일이다.
    문단의 연조가 짧은 이곳 한글문단은 호주에서 영어로만 소설창작을 한 도노 김에 비해 연구가 미약한 상태이다. 그러나 시드니는 오세아니아 지역의 한글문단 중심지로서 문학활동이 왕성하다. 1990년대 말엽 이후 최근까지 호주한인문인협회, 호주문학협회, 호주한국문학협회 등에서 정기적으로 펴내는 문예지들이 그 실체들이다.《호주한인문학》《시드니수필=시드니문학》《호주한국문학》등.
    이들의 작품 성향들은 대체로 서울의 그것과는 상이하다. 먼저 작품 소재나 제재는 디아스포라적 삶의 서사들인 점, 무대공간과 기법 면에서 두 개의 시공간을 활용하는 점이다. 이어서 인물성격은 이방지대에서 한국과 호주의 경계인으로 살아가며 새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숱한 시행착오를 겪는다는 점, 주제적인 면에서는 소외감과 짙은 향수에 젖은 채 타자 속의 정체성 찾기를 모색한다는 점이다.
    호주지역의 한글문단 경우, 작품 기법이나 문장 구사면에서는 서울문단과 차이없는 수준이다. 이런 점은 트랜스네셔널리즘으로서 자유롭게 선택 이민해 간 남북아메리카주 환경처럼 시드니 현지의 문예창작교실에서 기초수련을 하고 서울문단과 활발히 교류한 영향이다. 이런 여건에서 이 지역의 한글문단은 강제로 이주 당하여 경직된 사회주의 문학을 추종해 온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문단이나 중국 연변조선족문단의 디아스포러 처지와는 비교된다.
    한인들의 한글문학은 일제강점기 무렵부터 한반도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원동(연해주)과 중앙아시아-중국 간도(연변)을 거쳐 자유진영으로 번져나갔다. 광복 이후에는 북아메리카주의 캐나다-미국으로, 그리고 남미의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넘어서 오세아니아의 축인 호주에 이르렀다. 이제는 시계방향 그대로 인도양을 건너 유럽주의 독일로 닿아 다시 한반도 정점으로 모으는 원형의 지구촌 지형도를 이룬다. 앞으로의 과제는 이런 오대주(아프리카주 외) 의 한글문학을 서로 원활하게 교류, 조화시키면서 다문화적인 세계의 정보화로써 올바른 한겨레문학으로 발전시켜야 할 일이다.

    영어초록

    Oceania covering the Australia and New Zealand is remote from Korea, and the exchange between Oceania and Korea had rarely happened. For all that, Sidney has become a base of the Korean literature for 50 years in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More than 100,000 Koreans in Sidney are constantly publishing their literary magazines and establishing literary circles. In current society that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ethnic exchanges are occurring frequently, it is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one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for Koreans to establish the Korean literary circles in Sidney.
    The earlier studies about Korean literary circles in Sidney were a little poor, unlike about Don’o Kim who wrote novels only in English. However, Sidney is a central region of Korean literary circles in Oceania, the city’s literary activities are showing a growing trend. We can see the substances through the periodical literary magazines published by Association of Korean Writers in Australia, Association of Australian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Australia recentl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endencies of these literary work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made in Seoul. The distinctive factors in Sidney are that materials or subject matters are the epics of diaspora lives, that they use two time and space in stage and technique, that characters experience various trial and errors as a marginal man between Koreans and Australians, and that Koreans in Sidney are searching for their identities among the others with sense of alienation and nostalgia. There is no difference in grade about technique or sentences between Korean literary circles in Australia and those in Seoul. This is the result that they communicated with the literary circles in Seoul based on training in the writing classrooms there. Under the circumstance like this, the Korean literary circles in Sidney can be compared with the Kareisky literary circles or Korean Chinese literary circles in terms of diaspora. Korean literature spreaded out to the Free World through the Russian Far East, Central Asia, Chinese Yanbian. After the 1945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it reached to Canada, USA, Brasil, and Australia. Now, it is forming a global and topographical map linking with Germany of Europe and Korea going clockwise. It is our duty to make the Korean literature evolve into the right national literature through a smooth exchange and correspondence with the multi-ethnic informat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