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咸州誌 편찬 및 구성의 역사지리적 특징 (Geographical Characters in the Publication and Composition of Hamjuji)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12
21P 미리보기
咸州誌 편찬 및 구성의 역사지리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역사지리 / 27권 / 3호 / 18 ~ 38페이지
    · 저자명 : 최원석

    초록

    『함주지』는 조선전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후기의 『여지도서』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편찬되는 사찬 읍지의 모범이 되었다. 『함주지』의 細目數를 여타 전후의 함안 지지와 비교해보면 큰 차이가 나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지리정보를 충실히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함주지』는 항목 구성에서 京師相距와 四隣疆界를 제일 앞에 배치함으로써 지리적 특성을 잘 드러냈다. 민의 생활사와 관련된 각 마을의 風土, 호구·전결은 책의 앞으로 두고 강조했다. 마을의 士族에 대한 관심이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堤堰’과 ‘灌漑’를 새 항목으로 추가하여 자세히 서술한 것은 유교적인 經世濟民의 시선으로써 의미가 있다. 17개 各里 社壇의 위치 정보를 수록한 것을 통해 里 단위로 社壇을 갖추고 있었음도 새롭게 확인된다. 『함주지』(규 17452:咸安郡邑誌) 後輯의 1, 2권 사이에 수록된 지도는 『여지도서』 함안군에 수록된 지도를 바탕도로 하여 모사하고 지명정보를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함주지』는 이후에 편찬된 지리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16세기-17세기를 대표하는 『진양지』, 『영가지』 등의 주요 사찬 읍지는 『함주지』를 모델로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진양지』는 거의 『함주지』 편제와 일치하고 있어 그 영향력의 큰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mjuji acted as a bridge between Donggukyeojiseungram of the middle Joseon period and Yeojidoseo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served as a pattern for other private Up-chies that published since then. Hamjuji contained local geographical information detailedly due to its item numb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ny other Haman Up-chies. It presented a geographical character to dispose the items Gyeongsasanggeo and Saringanggue at the top. The items of each villages like Natural features, Household and Population, Cultivating area were laid stressed in front of contents. Also, Hamjuji had a feature paying attention to the local gently. The items Dam and Irrigation were added that reflected in the perspective of Confusion scholar for administrating the local county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It verified that each villages had a Sadan in Haman region for their site information. Hamjuji affected strongly to next Up-chies published in 16-17th like Jinyangji and Younggaji etc. Especially, the formation and compositon of Jinyangji were very similar with Hamju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