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사 창건주와 창건 내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Founder and History of Hwaeomsa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5.04
37P 미리보기
화엄사 창건주와 창건 내력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31호 / 113 ~ 149페이지
    · 저자명 : 우삼순

    초록

    본고는 화엄사의 창건주와 창건 내력에 관한 고찰로서, 이에 관한 정확한 자료 또는 문헌이 없고여러 가지 설들만 전해져오고 있는 가운데, 창건 관련 여러 설에서는 창건자를 연기라는 스님으로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연기 스님의 법명인 한자 표기나 창건 시기에는 각각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론에서 정유재란 이후에 저술된 화엄사사적에 의한 진흥왕 5년(544) 烟起祖師에 의한 창건설은신뢰할 수 없다는데 대해, 이 견해와는 생각을 달리하여 각종 문헌을 토대로 구명해 보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한계가 있어 화엄석경, 문양 비교, 수습 인골을 중심으로 보완하려고 노력하였다.
    첫째, 화엄사 寺傳대로 효대의 인물상을 연기조사의 어머니로 볼 때, 사경 발원문의 제1원지에서「아버지에게 은혜를 베풀기를 원하오며」와는 다르다. 사경이 효대나 그 주변에서 수습되었다면 사경을 봉안한 緣起法師와 창건주 烟起祖師는 다른 인물로 봐야 한다.
    둘째, 사사자삼층석탑과 신라화엄경변상도에 나타나는 문양 비교를 통하여 석탑과 사경의 조성시기는 동일시기로 볼 수 있고 이 점도 緣起法師와 창건주 烟起祖師는 다른 인물로 봐야 하는 점이다.
    셋째, 사사자삼층석탑과 석등 아래에서 수습된 인골을 통하여 더욱 확실해진다. 또한 문양의 내용과사경 조성기의 목축 양쪽 끝에 있는 사리1과씩을 염두에 두면서 살펴보면, 사사자삼층석탑은 불탑과승탑 두 측면의 상징성을 가지는 공양탑인 예불공간으로 봐야 한다.
    결론으로는 화엄사사적에 나오는 烟起祖師를 진흥왕 5년(544)에 화엄사를 개창한 개창주로, 당시생존하여 화엄경변상도 발원문을 작성한 緣起法師를 경덕왕 14년(755) 때의 삼창주로 정리하여 烟起 와 緣起로 한자표기도 달리하였고, 개창주는 祖師로, 삼창주는 法師로 구분하여 다른 인물로 정리하였다. 따라서 烟起祖師는 개창한 개창주로, 이창주는 의상으로, 삼창주는 緣起法師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효대는 불탑과 승탑의 성격을 모두 가지는 예불공간으로 정리하였다.
    문헌 내용에서 한계를 느낀 점을 사경 수습처와 탑 조성 시기, 문양 비교, 수습 인골을 통하여 확실하게 정리한 셈이다.
    창건주와 창건 시기에 관한 진실을 밝히고 그것을 수용하고 더욱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리라생각된다. 단순히 역사 부풀리기가 아니고 역사란 진전할 때 발전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정리한다고했으나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많은 질책을 바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founder and history of Hwaeomsa Temple, and as stated in the introduction, there are no accurate data or literature, and only various theories have been handed down, Many theories related to the foundation commonly refer to the founder as a monk named Yeongi, but they raised the issue of the difference in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and the founding period, which are the legal names of the monk Yeongi.
    In the main text, it is unreliable to say that it was established by a postponement survey of King Jinheung's 5th year (544) in the history of Hwaeom Temple written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but contrary to this view, I tried to find out based on various documents, efforts were made to supplement the Hwaeom Seokgyeong, the comparison of patterns, and the human bones of the collect body to its limitations, Additionally, the issue of the found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ource of the Great Sutra of Hwaeom, the Prayer Text, and the Hyodae (the Four Lion Three-storey Stone Pagoda and Stone Lantern). The first is the comparison of patterns on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of Silla and the Four Lion Three-storey Stone Pagoda, and the second is the sarira 1 of the human bones and the livestock farming of construction period of Sutra, which were recovered from the Four Lion Three-storey Stone Pagoda and the Stone Lantern, it should be viewed as a ceremonial space with both the symbolism of the pagoda and the stupa. This can already be seen in the Mountain Diary, which refers to Hyodae as Budoam. The third was an effort to grasp its meaning through a teacup on the stone lantern.
    In conclusion, the monk Yeongi(烟起) in Histoty of Hwaeomsa Temple was organized into the founder, who opened Hwaeomsa Temple in the 5th year of King Jinheung (544), and the buddhist Yeongi(緣起) in Prayer Text of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and Jiri Mountain daily work were organized into the three founder in the 14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 (755), and the Chinese characters in Yeongi(烟起) and Yeongi(緣起) were also different, the monk(祖師) into the founder and the buddhist(法師) into the three founder were organized into different people. In addition, Hyodae was organized into a ceremonial space with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pagoda and a stupa.
    In other words,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were clearly summarized through the collect office, the time of tower construction, the comparison of patterns, and the collect human bones.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truth about the founding owner and the founding period, and to accept and further develop it. It is not just to inflate history, but I think history will develop when it progresses. I said I would organize it, but I think there will be a limit. I hope you will reprimand me a l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