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바이에른 주(州)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동반자학급(Partner Class) 운영 사례가 한국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ner Clas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Bayern,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독일 바이에른 주(州)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동반자학급(Partner Class) 운영 사례가 한국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발달장애연구 / 20권 / 2호 / 25 ~ 52페이지
    · 저자명 : 김기흥

    초록

    본 연구는 독일의 바이에른 주(州)의 여러 가지 통합교육 형태들 가운데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동반자학급(Partner Class)의 운영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비롯하여 연구 관련 키워드와 연구대상 학교의 홈페이지 등을 통한 인터넷 검색 그리고 독일 교육현장 방문을 통한 각종 자료 및 정보 수집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독일 바이에른 주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동반자학급 운영사례를 통하여 도출된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실행과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교육법에 연속적이고 구체적이며 철저한 교육철학이나 교육이념이 확실하게 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통합교육의 정의와 관련하여 ‘일반학교에서’라는 통합교육의 장(場)보다는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가 여부가 더 강조되어야 함에 따라서 통합교육의 개념 정의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셋째, 통합교육이 강조되는 시대에 특수학교와 일반학교는 서로 대립적이거나 적대적인 관계보다는 각자의 전문성을 통하여 상호 협력함으로서 통합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성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통합교육은 기본적으로 일반교사와 통합교사 간 팀을 이루어 원활한 소통과 긴밀한 협력적 교수활동을 통하여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수업과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다섯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나 학급에는 가능한 다수의 장애학생들이 함께 구성원을 이루는 것이 교육 공간 및 행·재정적 지원, 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교사 확보, 협력교수와 더불어 장애인이나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개선 등에 있어서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operating practices of Partner Clas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among the several types of inclusive education, performed in Bayern, Germany, to elicit the implications of an inclusive education of regular schools. As to Research methods, it conducted Internet-based information search by surfing the school web sites of target schools and relevant keywords, including literature study. It also collected all sorts of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visiting education fields, located in Germany. The ind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on the operating practices of the Partner Clas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Bavaria, German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inuous, concrete, and thorough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School Education Acts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and achieve the essential goals of education. Second, to reestablish the defi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required because the participation of both disabl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and their coopera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going beyond highlighting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in regular schools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fulfill the essential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through cooperative and participatory activities based on each other's specialty rather than the confrontational or adversarial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the era when inclusive education is emphasized. Fourth, the participation of both disabl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in class and education through the proper com- munication and close cooperation in teaching activities is an essential factor to be considered by forming the team of general teachers and inclusive edu- 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Fifth, it is estimated that the forma- tion of the group together with a large number of disabled students in schools and classes, where inclusive education is performe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disabled men, along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 cation programs, the security of teachers, and collaborative te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