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이스피싱’사기에 이용된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한 계좌명의인의 횡령죄 성립여부 (Whether the embezzlement of the account holder’s act of withdrawing cash from the account used for the ‘Voice phishing’ is establishe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05
33P 미리보기
‘보이스피싱’사기에 이용된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한 계좌명의인의 횡령죄 성립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1권 / 2호 / 241 ~ 273페이지
    · 저자명 : 이창원

    초록

    대법원 2018. 7. 19. 선고 2017도17494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다수의견은 보이스피싱 사기에 가담하지 않은 계좌명의인이 사기피해자로부터 송금받은 피해금을 인출한 행위는 사기피해자에 대하여 횡령죄가 성립한다고 판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형법은 재물과 재산상 이익을 엄격히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횡령죄의 객체는 ‘타인의 재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①보이스피싱에 의하여 송금·이체된 사기피해금을 재물로 볼 수 있는지, 재물로 보는 경우 사기피해자의 소유권은 송금·이체된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지, ②보이스피싱 사기에 가담하지 않은 계좌명의인이 보이스피싱 사기 본범에 대한 신임 위탁관계가 있어 ‘재물의 보관자’의 지위를 가지는지, ③착오송금시 횡령죄가 성립한다는 기존의 판례를 그대로 적용하여 사기피해자에 대한 횡령죄를 인정할 수 있는지,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횡령죄의 본질인 ‘신임관계에 대한 배신행위’가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 등을 순차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①보이스피싱 피해자가 계좌명의인에게 송금·이체하는 피해금은 계좌명의인의 계좌에 입금된 때 계좌명의인의 소유로 귀속되므로 계좌명의인은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의 지위를 가질 수 없어 횡령죄의 주체가 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②횡령죄에서 말하는 위탁관계는 형법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위탁관계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보이싱피싱 본범이 보이스피싱으로 영득된 범죄수익을 계좌명의인에게 보관, 은닉케 한 경우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고, 계좌명의인과 이를 보유케 한 보이스피싱 본범 사이에는 형법상 보호해야 할 위탁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③착오송금의 경우는 제3자의 범행 개입없이 송금인의 착오로 송금이 이루어진 양자간 관계이나, 보이스피싱 사기의 경우 본범의 사기행위가 개입되어 있는 3자간의 관계로 착오로 인한 송금이 아니라 사기피해금이라는 점에서 착오송금의 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고, 설령 착오송금과 유사하다고 보더라도 착오송금 된 금전임을 알면서도 이를 인출·소비한 행위가 송금인에 대하여 횡령죄를 구성한다는 기존의 판례는 어떠한 거래 관계도 없어 서로의 존재에 대한 인식조차 없는 타인에 대하여 배신행위의 고의를 신의칙 등에 근거하여 인정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매년 증가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구제의 실효성 논란이 있는 피해금환급제도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이스피싱에 관여하여 도움을 준 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선례로서 대상판결은 의미가 있으나, 처벌의 필요성을 이유로 횡령죄의 구성요건에 대하여 확장해석하는 것은 형사법의 대원칙인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될 위험성이 있다. 대상판결의 반대의견과 같이 사기방조죄가 성립되지 않는 계좌명의인의 사기 피해금 인출 및 소비 행위는 보이스피싱 본범 및 사기피해자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 형법상 횡령죄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majority opinion in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7Do17494 decided July 19, 2019 finds that the withdrawal of the money by the account holder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voice phishing scam shall be embezzlement against the defrauded.
    Because the object of embezzlement is limited to another’s property under the criminal law strictly distinguishing property from property interest, this paper reviews the three issues sequentially: whether remitted victim’s money can be considered as property and if so, the victim’s property right to the money is maintained after remittance; whether the account holder who did not participate in a voice phishing scam holds the status of a person in custody of another’s property based on the consignment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offender in a crime of embezzlement; whether the embezzlement against the defrauded is established applying the existing precedent which finds embezzlement at the time of erroneous remittance and then, whether there is deprivation of the consignment relationship.
    First, since the account holder becomes the owner of remitted victim’ money at the moment of deposition and is not the person in custody of another’s property, the embezzlement cannot be established against the account holder. Secondly, the consignment relationship in an embezzlement crime requires protectable relationship under the criminal law and when the defrauder makes the account holder keep and conceal acquired proceeds of the crime, there is no protectable consign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frauder and the account holder. Thirdly, erroneous remittance is transfer of money based on the two-party relationship without intervention of the crime by the third party, but the remittance in a voice phishing scam is incurred by principal offender’s fraud and the money is the proceeds of the crime. Accordingly, the rule of erroneous remittance cannot be applied literally. The established precedent where recognizing erroneous remittance, the withdrawal and use of the money constitute embezzlement against the remitter is problematic because it finds a knowingly committed crime between two parties with no mutual recognition based on the good faith regardless of transactional relationship.
    This case is meaningful as a precedent in terms of punishing the person involving and aiding voice phishing in order to prevent increasing voice phishing crimes and to supplement the controversial damage recovery system. However, there is possibility to violate the principle of “no penalty without a law” in expansively interpreting the requisite elements of the embezzlement. In my opinio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withdrawal and use of the money remitted by the defrauded do not constitute embezzlement against the defrauder and the defrauded as the dissenting opinion in this case st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