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통죄의 법익에 대한 소고 ―유교 전통법의 보호법익로서 혼인과 가족― (The past, present, future of the punishment of adultery in Korea ―By the Protection of Criminal Law in Confucianis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3.08
22P 미리보기
간통죄의 법익에 대한 소고 ―유교 전통법의 보호법익로서 혼인과 가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철학연구 / 16권 / 2호 / 293 ~ 314페이지
    · 저자명 : 진희권

    초록

    이 글은 한국의 형법에서 유교적 형벌규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간통죄에 대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형법은 동아시아에서의 유교적 형법전의 전형인 「당률」을 본받은 「대명률」을 원용하고 있다. 간통죄의 규정 형식은 전통법과 오늘날의 법과는 규정방식을 달리하고 있다. 전통법에서는 다양한 행위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규정들이 존재하지만, 지금의 우리의 법은 일반조항 하나를 두고 다양한 간통의 유형을 처벌하고 있다. 해방 이후 간통죄는 형법에서 보호해야 할 법익인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대명률」의 규정을 의용하여 쌍벌규정으로 처벌하고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1910-1945년)에 와서는 서구 근대법의 영향을 받은 일본제국주의 형법의 영향을 받아서 간통한 유부녀만 처벌하는 규정을 두었다. 해방을 맞이하여 새로운 형법을 개정(1953년)하는 데 있어서 간통죄의 존치 여부는 커다란 문제였다. 존치로 결정이 나면서 전통형벌과 같은 쌍벌죄로 바뀌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간통죄는 그 이후 많은 논란이 있었다. 지금까지 여러 차례 위헌논의가 있었지만 합헌 판결을 받으면서 아직까지 존치하고 있다. 그러나 비판의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폐지의 주된 근거는 부부간의 성적성실의무와 정조의무위반행위는 도덕적인 문제로 형법이―특히 근대적인 의미의 법이―관여할 영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법은 문화의 영역이라는 관점에서 서구 근대의 법이 계수되기 전부터 존재하고 있는 간통죄에 대하여 유교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조선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간통죄의 규정의 변화와 논의를 살펴보고 유교적 관점에서 대안을 살펴보고 있다.

    영어초록

    In Criminal Law of Korea, The Punishment of adultery went through changes since The Korean Empire. The adultery was the crime of dual punishment in Joseon Dynasty(1392-1910A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ing era of Korea, The Korean legal system had fallen under the Japanese Empire(to undergo European Influence). And the Subject of the adultery was only married female.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nishment of adultery was controversial especially on the reform of Criminal Law(1953). The opinion about the abolition of adultery was that the provision was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feudalism. But the Government strongly wanted to maintain the provision of adultery. After much argument,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bill of Government with difficulty. It was the crime of dual punishment and an offence subject to complaint.
    The Criminal Law retained the adultery with the crime of dual punishment until now. And to this day, we went on the argument about the question of maintenance. On four times from 1990 until 2008,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judged the case that the adultery was constitutional or not. The Court ruled the bill was constitutional all the time. Because the balance between the public benefit and the individual's basic human rights had been keep. And because two years jail sentence of the provision was suitable for an adulterer.
    The abolition of the adultery has basis on which the violation of the sexual purity and the faithfulness with marital relations was not the part of Criminal Law. Therefore the decriminalization of Confucian-ethics is an impotent issue in the East Asia. But Law is a kind of culture. For ages long we live in Confucian culture. And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 of this issue with the Protection of Criminal Law in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