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18민주화운동 부인죄 도입의 필요성과 헌법적 정당성 (Necessity and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the Introduction of the Crime of Denial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5・18민주화운동 부인죄 도입의 필요성과 헌법적 정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16권 / 2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재윤

    초록

    이른바 홀로코스트 부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존재해왔으나, 1960년대부터 시작하여 최근 더욱더 독일 사회에서 문제되고 있다. 극우주의자 또는 신나치주의자들에 의한 홀로코스트 부인의 대표적인 예로 “유대인 말살을 위한 단일한 계획은 없었기 때문에 홀로코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우슈비츠 및 여타 수용소에 인간가스실은 없었다”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독일은 이러한 홀로코스트 부인에 대해 독일형법 제130조 제3항을 마련하여 형법적 규제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독일의 홀로코스트 부인과 유사하게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일부 극우논객과 종합편성채널에 의해 5・18민주화운동을 부인, 왜곡, 날조하는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 “5・18은 김대중이 일으킨 내란사건이라는 1980년 판결에 동의한다” 또는 “5・18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하였다”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5・18민주화운동 부인행위는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5・18민주화운동 희생자와 그 유가족의 명예와 존엄성을 침해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홀로코스트 부인을 형사처벌하는 독일형법 제130조 제3항과 유사하게 우리나라에서도 역사적 사실의 부인으로서 5・18민주화운동 부인죄 도입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내용, 그리고 그러한 형벌규정이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지 않아 헌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5・18민주화운동 부인은 신군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항거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회복・신장시킨 민주화운동을 부인, 왜곡, 날조하는 것으로 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넘어선 명백한 범죄행위이다. 따라서 「5・18민주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제70조의2(벌칙)을 신설하여 5・18민주화운동 부인죄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규정은 당벌성과 형벌필요성을 갖추고 있어 헌법상 정당화될 수 있다. 이러한 5・18민주화운동 부인죄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공론의 장에서 민주적 토론을 위한 하나의 행동규칙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Holocaust denial has occurred since 1960s following World War Ⅱ, but it has emerged as a critical issue in German society in recent year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Holocaust denial from right-wing extremists and neo-Nazis include “The Holocaust didn’t exist because there was no single plan for the genocide of Jews.” and “There were no gas chambers in concentration camps including Auschwitz Concentration Camp.” In this regard, Section 130(3) of the Criminal Code of Germany was added and such denial became regulated by Criminal Code.
    Similar to the Holocaust denial, denials, distortions, and fabrications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by some extreme right-wing commentators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TV channels are on the rise in Korean society. “I agree with the trial for rebellion in 1980 stating that the May 18 Uprising was a rebellion by Daejung Kim.” and “North Korean forces were involved i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Such denials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inder social integration and violate the honor and dignity of the victims and the bereaved of the Movement.
    In this context, with reference to Section 130(3) of the Criminal Code of Germany that regulates the Holocaust denial,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the crime of denial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denial of Korean history, and details of such provision. Whether such criminal regulation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constitutional was also investigated.
    In conclusion, the denial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the negation, distortion, and fabrication of the democratic movement that recovered and promot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through the resistance against the military-authoritarian regime, and therefore, it is obviously a criminal offence beyond the boundary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For this reason, it is reasonable to introduce the crime of denial of the Movement by adding Clause 2 of Article 70 (Penalty) in the Act on the Honorable Treatment of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s during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s this regulation meets the validity and necessity of criminal punishment, it can be justifiable under the Constitution. This crime of denial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may serve a role of a code of conduct for debate in a liberal democratic society for the sake of a democratic deb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