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화에 관한 죄의 제정 경위와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islative History and Future Amendments of Crimes Related to Currenc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통화에 관한 죄의 제정 경위와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법연구 / 36권 / 3호 / 133 ~ 164페이지
    · 저자명 : 조성훈

    초록

    통화는 현대 경제질서에서 기본 축을 차지하는 중요한 제도이다. 세상에는명암이 존재하듯이 화폐경제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통화위조라는 그림자와 함께해 왔다. 화폐가 경제 활동의 중심적인 매개 수단으로 자리 잡을수록, 그에대한 신뢰를 훼손하려는 위조의 위험도 동시에 커져 온 것이다. 이는 경제 거래의 안전과 사회적 신뢰를 보호하기 위해 더욱 정밀한 법적 규제와 예방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가상자산, 다양한 비현금 지급수단,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등의 발전은 향후 「통화에 관한 죄」의 해석론과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도전과 사회의 발전에 적절히 대응하려면, 「통화에 관한 죄」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배경, 현재의 쟁점, 향후 방향성 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형법 제정 관련 자료에 의하면, 일본의 특별법과 형법의 규정들은 우리 형법의 「통화에 관한 죄」의 현재 모습을 설명할 수 있는 유력한 자료로 생각된다. 본 문헌에서는 위 법률들의 내용과 해석상 쟁점을 「통화에 관한 죄」의제정 경위와 관련하에 상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형법 제207조 제1항의 “통용”, 제207조 제2항의 “유통” 등의 구성요건 요소가 가지는 실질적 의미를 살펴본 후, 다음과 같은 점을 주장하였다. (1) ‘유통’의 의미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국내외 학설, 판례의 취지를 고려할 때, ‘내국 유통 외국통화’로 인정되는 사례는 매우 드물며, 인정되는 경우에도 법정형에 차등을 두면서까지 보호해야 할지는 의문이므로, 형법 제207조 제2항은 삭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세계주의 정신을 반영한 제207조 제3항을 규정한 취지와도 일관되는 것이다. (2) 형법적 관점에서 강제통용력의 의미는 통화발행권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와 같이 ‘통용하는 화폐, 지폐 또는 은행권’으로 행위 객체를 규정하는 방식과단순하게 ‘통화’로 규정하는 방안 모두 검토할 수 있으나, 향후 기술 및 경제환경의 변화와 함께 본 문제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3) 형법 제211 조는 그 실질적인 적용 범위를 명확히 한다는 관점에서 주관적 구성요건, 행위태양, 법정형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 (4) 「통화에 관한 죄」의 적용 범위는 국제화 시대에서 외국통화의 기능, 통화위조에 대한 국제규범의 동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입법정책의 문제이나, 어떠한 방향성을 정하는 경우에도 이론적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는 있다.

    영어초록

    Currency is a fundamental institution that occupies a central role in the modern economic order. Just as light and shadow coexist in the world, the development of a monetary economy has inevitably been accompanied by the shadow of currency counterfeiting. As currency has become the central medium of economic activity, the risk of counterfeiting that threatens public trust in it has also increased.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virtual assets, various non-cash payment methods, and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BDCs)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pretation and policy concerning “crimes related to currency” in the future.
    To effectively address these challeng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urrency-related crimes, the current issues, and the future directions.
    According to material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criminal law, Japan’s special laws and criminal codes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current state of currencyrelated crimes in our legal system. This article examines these laws and the interpretive issues they present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urrency-related crimes. Additionally, the substantive meaning of key elements the Criminal Code are analyzed, leading to the following assertions: (1) Considering the limited interpretation of “circulation” in legal theory and case law, cases recognized as “foreign currency in domestic circulation” are rare.
    Even in such cas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should be protected to the extent of differentiating statutory penalties, thus necessitating the deletion of Article 207(2) of the Criminal Code. This aligns with the intent behind Article 207(3), which reflects a spirit of universalism.
    (2) From a legal perspective, the meaning of legal tender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intention of the currency issuer. From this viewpoint, both the current approach of defining the object of the act as “metallic money, paper money, and banknotes which is leally authorised” and a simplified definition of “currency” should be examined. However, further review will be necessary in light of future techn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s.
    (3) Article 211 of the Criminal Code requires revision in terms of clarifying its scope of application, subjective elements, the mode of conduct, and statutory penalties.
    (4)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urrency-related crimes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to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function of foreign currenc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norms on counterfeiting. Nevertheless, any chosen direction must maintain theoretical consist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