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죄 이해 (Understanding of Sin in the Ecological Perspec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2.11
29P 미리보기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죄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36권 / 207 ~ 235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본 논문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죄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논문이다. 이 논문은 죄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전통적 이해는 오늘의 시대적 입장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돌파구로서 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이 논문은 생태학에 대한 이해를 통찰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한다. 첫째, 세계의 모든 유기체는 생태적 관계에 의해서 그 정체성을 드러낸다. 둘째, 우리의 생태계는 하나의 전체이며, 그 전체를 자각하고 상호의존됨을 아는 것이 생태학적 영성의 핵심이며 구체적인 내용이다.
    둘째, 이 논문은 마조리 수하키의 죄론을 중심으로 기독교 신학의 전통적 죄 이해의 문제점을 논한다. 여기서 어거스틴, 틸리히, 니버, 스윗이 시도한 죄 이해를 분석하면서, 이들에게서 죄란 하나님에 대한 반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반역으로서의 죄 이해는 하나님에게만 죄를 짓지 않으면 하나님이 아닌 다른 피조물에게 가하는 행위는 죄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여 피조물의 가치를 평가절하시킨다는 문제성을 제기한다.
    셋째, 이 논문은 이런 전통신학의 죄 이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죄를 피조 세계의 안녕을 침해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그리고 피조 세계의 안녕을 침해는 것이 곧 하나님에 대한 반역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죄에 대한 이해는 세계에 대한 안녕을 도모하는데 기여한다. 여기서 용서는 세계에 대한 안녕을 도모하고, 폭력을 깨트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영어초록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discuss the concept of si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t acknowledges that the traditional concept of sin has some limits concerning the challenge of global warming and tries to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sin to respond to the challenge.
    First, this study admits that all creatures on the earth reveal their identities through their ecological relations. Also, it admits that the ecosystem is one whole, so it is the task of ecological spirituality to perceive the oneness and the interdependency of the creature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sin in Christian theology in view of Marjorie Hewitt Suchocki. Through an analysis of Aurelius Augustine, Paul Tillich, Reinhold Niebuhr, and Leonard Sweet on sin, it will show that sin is a rebellion against God. It points out tha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sinful acts against creatures might not be regarded as sin, since they are not against God directly. As a result, it underestimates the value of the creatures.
    Third, for overcoming that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sin, this study suggests that any acts to threaten the peace of the ecosystem should be regarded as a sin, and therefore, against God. This interpretation of sin would promote peace in nature. In that view, forgiveness means to encourage peace in the ecosystem and to defend it against any violence that tries hopes to break that pe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