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기죄에서 처분의사의 의미 (The Meaning of Intent of Disposal in Frau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12
39P 미리보기
사기죄에서 처분의사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65권 / 4호 / 133 ~ 171페이지
    · 저자명 : 이민령

    초록

    종래 대법원은 사기죄 성립에 있어서 피기망자의 처분행위가 있어야 하고, 그러한 처분행위로 볼 수 있으려면 피기망자에게 결과에 대한 인식까지 필요하다고 판시해왔다. 그러나 문서의 재산처분적 성격을 바로 알지 못하게 하는 기망의 방법으로 피기망자에게서 서명을 얻어낸 이른바 ‘서명사취 사안’에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6도13362 전원합의체 판결)은 다음과 같이 입장을 변경하였다. 즉 사기죄의 성립요건 중 피기망자의 처분의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그가 재산이전이라는 처분결과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유효한 처분행위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관련한 찬반론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상판결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특히 형사법의 독자성을 통해 처분의사라는 요건이 가지는 의미를 확정해보고자 한다.
    대법원 다수의견은 착오에 빠진 피기망자가 ‘어떤 행위를 한다’는 인식이 있으면 충분하고 ‘그 행위가 야기할 결과’에 대한 인식까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에 대한 보충의견은 피기망자가 재산처분적 내용에 대한 인식 없이 행위하였더라도 그것이 민법 등 다른 법요소의 의미에서 볼 때 유효한 법률행위라고 한다면 기망행위자의 행위불법을 정당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인정해야만 다른 법질서와 상충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사기죄 본질이 기망의 수단으로 피기망자의 처분의사를 유발하여 직접 처분행위를 행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면, 피기망자에게 재산을 내어 줄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는 요건평가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서만 다른 재산죄와 사기죄의 구별기준을 정립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기망과 재산교부, 그리고 재산취득의 측면에서 행위양태가 비교적 유사한 책략절도 사안과의 구별도 가능하게 된다. 형법 고유의 원칙에 따르면 기망행위자의 행위불법 평가가 핵심적인 관건이지만, 사기죄 특성상 이 또한 피기망자의 의사를 고려하지 않고서 판단될 수 없는 것이다. 물론 ‘재산상 이익’ 취거행위를 절도에 포섭할 수 없어 발생하는 처벌상 흠결에 관한 형사정책적 우려를 무시할 수는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사기죄 요건을 비정형적으로 확대해석하여 이를 해결하려 하는 것은 합리적인 방식이 아니다. ‘재물죄’와 ‘이득죄’를 준별하는 현행 재산죄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와 대안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In the past, the Supreme Court had held that an act of disposal by the deceived, as well as their awareness of its consequences,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me of fraud. However, in the so-called “defrauding signature” case where the signature of the deceived was obtained by deception that prevented him from immediately knowing the dispositive nature of the document, a plurality of the Supreme Court in its en banc decision (2017. 2. 16. 2016Do13362) acknowledged that the defrauded person's intention to dispose of the property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me of fraud, but revised its position, stating that it may be a valid disposition even if the defrauded person was unaware of its consequences as a property transfer. As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Court's decision continue to be debated, this article attempts to evaluate the judgment based on the nature of the crime of fraud and the independence of criminal law.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holds that a misled victim must be aware of their act but need not be aware of its consequences. The supplementary opinion points out that even if the deceived acted without awareness of the dispositive content of the property, if it is a valid legal act in the sense of other legal elements such as in civil law,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reflection of the illegality of the deceiver’s behavior in order not to conflict with other legal orders. However, if the essence of the crime of fraud is to induce the defrauded person to dispose of the property through deception and to carry out the act of disposal directly, whether the defrauded person had the intention to give the property must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requirement. Only through such an interpretation can it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fraud from other property crimes, especially between signature fraud and scheme theft, which are relatively similar in terms of deception, granting property, and obtaining property.
    According to the principle inherent in criminal law, the assessment of the illegality of the deceiver's behavior is the key point, but due to the nature of fraud, this cannot be determined without considering the intent of the deceived. Of course, we cannot ignore the criminal policy concerns about the punishment deficiencies that arise from the inability to subsume the taking of “property interest” into theft. Nevertheless, addressing these issues through an atypical broadening of the requirements for fraud is unreasonable. It is time to fundamentally review the current system of property crimes, which differentiates between ‘property crimes’ and ‘gain crimes’, and to propose viable altern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대학교 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