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서받지 못할 죄’: ‘성령을 모독하는 죄’의 성서학적 해석 (The Unforgivable Sin: A Biblical Interpretation of the Sin of Blasphemy against the Holy Spiri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3.03
34P 미리보기
‘용서받지 못할 죄’: ‘성령을 모독하는 죄’의 성서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63권 / 43 ~ 76페이지
    · 저자명 : 박정수

    초록

    성령은 유일하신 참된 한 하나님의 영이며, 하나님 자체라는 관념에서 유대교나 기독교, 구약이나 신약, 오순절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오순절 성령 체험은 예수가 ‘인자이며 그리스도, 세상의 주’라는 초기 기독공동체의 기독론 선포를 가능하게 했다. 그것은 포로기 이후 형성된 유일신 신앙체계를 흔드는 사건이었고,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새로운 통치방식을 경험한 사건이었다. 그 결과 예수가 그리스도요, 하나님과 함께 찬양받으실 주라는 ‘이위일체경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그들이 예수가 하나님이 아니고서는 ‘성령을 보내는 자’일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위일체’의 신앙은 이미 역사적 예수의 행동에서 암시되었고, 유대인들은예수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를 거절하였다. 마가와 마태에 따르면, 지상의 인자의 말과 행동을 거절함은 십자가와 부활 이전의 사건이기에 용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인자를 통해 실현되고 있는 하나님의 성령의 종말론적 구원 사역을 거역하는 말과 행동은 ‘용서받지 못할 죄’가 된다.
    여기서 이스라엘 안에서 하나님 나라를 거절하고 수용하는 두 가지 현상이나타나는데, 이것을 해석하는 초기 기독교의 관점이 마태와 마가의 ‘비유이론’ 이다. 누가는 예수와 하나님 나라를 수용한 제자들 안에서 일어날 ‘나를 시인하고 부인하게 될’ 선교적 상황을 부각시킨다. 초기 기독교 형성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부활하신 주가 “부어주신”(보내신) 오순절 성령의 체험, 그리고 제2성전의 파괴가 촉발시킨 유대교로부터의 분열이었다. 이 양대(兩大) 사건은 초기 기독교의 기독론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성령에 대한 유대교의 이해를 변형시켜 기독론과 결합된 기독교의 성령론을 형성시켰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that the Holy Spirit is the spirit of the One and Only God, and the God himself shared no disparity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and before and after Pentecost. The Pentecostal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enabled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s proclamation of Christology that Jesus is the Son of Man, the Christ, and the Lord of the world. It was an event that quaked the monotheistic belief system that had been formed after the exile, and an event in which the early Christians interpreted a new way of God’s reign. As a result, a “binitarian worship” began to emerge, in which Jesus is both the Christ and the Lord to be praised together with God. This was because they believed that Jesus could not be identified with the “bestower of the Holy Spirit” unless he was God.
    This “binitarian belief” was already implied in the actions of historical Jesus, so the Jews repudiated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had proclaimed. According to Mark and Matthew, the rejection of the words and actions of the Son of Man on Earth can be forgiven because it precedes the incidents of hi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Unpardonable sins,” however, are the words and actions that defy the eschatological salvation of the Holy Spirit, which is being realized through the Son of Man.
    The two phenomena, that is, rejection and acceptance of the kingdom of God were floated to the surface in Israel. The early Christian perspective that interpreted them was the “parable theory” of Matthew and Mark. Luke highlights the missionary context of the “confession and denial of oneself” that will be performed by the disciples who have embraced Jesus and the kingdom of Go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early Christianity witnessed two critical turning points. One was the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at Pentecost, “poured out” (sent) by the risen Lord, and the other was the separation from Judaism triggered by the demolition of the Second Temple. These two major events shaped the Christology of early Christianity, which in turn would have transformed the Jewish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to structure a Christian pneumatology that was combined with Christ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