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보매수죄 (Some Comments on Selling or Buying Candida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2.03
35P 미리보기
후보매수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48호 / 305 ~ 339페이지
    · 저자명 : 이재승

    초록

    이 글은 서울중앙지방법원 제27형사부의 2012년 1월 19일자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위반 사건 판결에 대한 논평이다. 장문의 판결도 이례적이고 판결내용도 놀라운 데가 있다. 그러나 재판부의 이해유도(후보매도) 스토리는 매매 프레임 안에서 검찰의 후보매수 시나리오를 좌우로 바꿔 놓았을 뿐이다. 이 사건 판결과 관련하여 필자가 문제 삼고 있는 부분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재판부가 양측 선거관계자들의 5.19 합의를 선거법 위반 행위로 취급하고 피고인들에게 불리한 기초사실로 안고 간다는 점에서 부당전제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재판부는 이러한 결론적 전제 위에서 처벌불가능한 타인의 죄책을 끌어와 피고인들에게 정치적 도덕적 연좌제를 시행하고 있다. 법정은 어디까지나 법의 재판소이기 때문에 타인의 과오까지 원죄처럼 끌어올 수는 없다.
    둘째로, 재판부는 피고인들의 주장 사실들을 대체적으로 인정했지만 구태의연한 법리로 포장하였다. 그 핵심적인 논리는 뇌물죄의 포괄적 대가성과 흡사하다. 재판부는 검찰의 후보매수 시나리오를 사퇴자의 후보매도 시나리오로 변경하면서, 사퇴자를 매매 프레임의 중심에 놓고 사퇴자의 의사를 다른 피고인들에게 강제로 전이시키는 구도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각자의 표상과 의지에 따라 행동하므로 이러한 부당한 결부는 허용되지 않는다.
    셋째로, 재판부의 후보매도 시나리오는 강경선과 곽노현이 부조(扶助)의 동기에서 금원을 제공하였다는 점을 온전하게 해명하지도 못하고, 법리적으로 구성하지도 못했다. 금원 제공의 발단은 사퇴라고 할 수 있지만, 제공의 결정적인 이유는 피고인 박명기의 경제적 궁박, 심리적 박탈감, 최종적으로 이로 인한 극단적 선택에 대한 우려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금원 제공은 불법을 조각하거나 최소한 위법성을 조각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giving some comments on the decision by the Central District Court of Seoul on crime of selling or buying candidacy after resignation stipulated in Article 232, Section 1, paragraph 2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sentencing of the court is voluminous enough to represent the story close to truth of the case. But application of law or legal reasoning of the court is apparently unusual. The crime story by the court seems greatly different from the prosecutor’s scenario, but indeed remains under the prosecutor’s frame of selling and buying the candidacy. The main points of this comment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The first part of my comment addresses that the sentencing court makes fallacy of petitio principii. The court unwarrantedly regards the doubtful political negotiation by Kwak’s election staff as an established crime. But it will be argued that the court ruling might run against the principle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or principle of legality. The court should bear it in mind that the secular courtroom is different from the religious court which has recourse to the moral criterion of perfection.
    Second, the sentencing court acknowledged by and large the factual situations which the accused and their lawyers maintained, but failed to develop the legal tools and methods appropriate to explain and solve this case of money-giving. The logic of the court is no more than a modification of the broad consideration as developed in the crime of bribery. The court found the cognition of the consideration by the resigned candidate Park, Myung-Ki who took the money from Kwak, Nohyun, Superintend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urther, the court concludes that Kwak and his mediator Kang, Kyong-Son had a willful negligence of Park’s criminal intent concerning the connection of consideration. But this ruling neglects the logical structure of Absichtsdelikt(crime of purpose). This article reaffirms that the court ruling is typically a contra legem interpretation, as long as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in this case belongs to money-donors’, not money-donee’s.
    Third, the money-giving story includes a lot of elements which can not fully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candidacy-selling scenario by the sentencing court. The exclusionary reason for money-giving is supposedly related to the danger of extreme choice by Park who suffered from financial predicament and extreme psychological crisis after he withdrew his candidacy. This aspect of money-giving can be placed as the good-will aid from the right of necessity by Kwak and Kang.
    In conclusion, this financial aid without prior engagement of money-giving before the resignation of candidacy is not a crime, but an action free from law. This action from the right of necessity should be at least justified or exculpated in terms of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