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론학의 삼종중도(三種中道)와원효의 무이중도(無二中道)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in three kinds of middle way in the Sanlun school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of Wonhy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1.06
35P 미리보기
삼론학의 삼종중도(三種中道)와원효의 무이중도(無二中道)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6호 / 139 ~ 173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깨달음인 진제와 세속인 속제의 이제(二諦)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의해 붓다의 깨달음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마하반야바라밀경』에서는 세 가지의 이제설이 보인다. 첫째, 승의제와 세속제를 교설의 형식으로 하는 이제설은 승랑에게 전수되어서 이제시교론(二諦是教論)․삼종중도론(三種中道論)으로 발전하여 사중이제설(四重二諦說)로 귀결된다. 둘째, 승의제(勝義諦)를 불가언공성(不可言空性)으로 하고, 붓다의 교설을 이 ‘불가언공성(不可言空性)’의 방편인 세속제(世俗諦)로 하는 이제설은 원효에게 무이중도(無二中道)로 발전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세속제와 승의제와의 상즉(相卽)을 설하는 이제설은 원효에게 생멸상즉(生滅相卽)으로, 승랑에게 유무상즉(有無相卽)으로 계승되고 있다.
    중국의 삼론학에서는 이제의 체가 중도임을 밝혀 중도위체론(中道為體論)을 성립하고, 승조의 유무상즉 사상에서 유래한 가명공(假名空) 이론이 삼론학의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 사상으로 계승되어, 이제각론중도(二諦各論中道)[세제중도․진제중도]와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의 삼종중도(三種中道)로써 깨달음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의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속제중도(俗諦中道)․진제중도(眞諦中道)․무이중도(無二中道)라는 용어로써 깨달음의 경지를 나타낸다. 무이중도는 중관학의 이제(二諦)[속제, 진제]와 유식학의 삼성(三性)[변계소집성, 원성실성(시각), 의타기성, 원성실성(본각)]을 서로 융합하고 있다.

    영어초록

    Buddha's enlightenmen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how to perceive the twofold truth, which are the absolute truth of enlightenment and the conventional truth of the mundane world.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 manifests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twofold truth. First, the twofold truth, which is the form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as a doctrinal teaching, was passed down to Senglang, and now is developed into ‘the logic that the twofold truth is the teaching(二諦是教論)․‘the logic for three kinds of middle way(三種中道論), resulting in ‘the sermon of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s(四重二諦說)’. Second, the twofold truth, which made the ultimate truth as ‘the nature of emptiness cannot be called(不可言空性)’ and conventional truth as Buddha's preaching is a temporary expedient of ‘the nature of emptiness cannot be called’, was inherited by Wonhyo and expanded into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無二中道). Third, the twofold truth, which preaches integration of all phenomena with one another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was inherited by Wonhyo as production and extinction are mutual identification, and by Senglang as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mutual identification.
    The Sanlun school in China established ‘the middle way as their essence(中道為體論)’ by revealing that the essence of the twofold truth is the middle way and ‘the theory of conventionally designated emptiness(假名空 理論)’ derived from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mutual identification(有無相卽) of Sengzhao is inherited as ‘the middle way clarificating the twofold truths synthetically(二諦合明中道)’ of the Sanlun school, denoting enlightenment as ‘the three kinds of middle way(三種中道)’ including ‘the middle way discussing the twofold truth separately(二諦各論中道)’[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clarificating the twofold truths synthetically(二諦合明中道)’. In response, Wonhyo of Korea employed the term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to represent the stage of enlightenment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s converged into the twofold truth[the conventional truth and absolute truth] in Madhyamaka and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in Yogâcāra[parikalpita-svabhāva, pariniṣpanna-svabhāva(initial enlightenment), paratantra-svabhāva, pariniṣpanna-svabhāva(original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