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사회 검정 교과서 11종의 6⋅25 전쟁 서술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War in 11 typ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ertified textbook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초등 사회 검정 교과서 11종의 6⋅25 전쟁 서술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 / 63권 / 2호 / 83 ~ 106페이지
    · 저자명 : 조윤영, 홍후조

    초록

    6⋅25전쟁은 대한민국의 존립과 관련된 중대한 사건이지만 최근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6⋅25전쟁서술이 여러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교과서의 6⋅25전쟁 서술의 방향을 탐구해보고, 이를기준으로 2023학년도 본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검정교과서 출판사 별 11종의 6⋅25전쟁의 서술을 검토하여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문제가 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6⋅25 전쟁의 학습 의의로서 국가(체제)정체성(반공과자유민주), 외교 전략, 후대의 책임과 역할을 선정하고, 전쟁의 기원과 전개 과정을 서술할 때 국가(체제)정체성이잘 드러나는지, 정전과정에서 외교적 기제가 잘 드러나는지, 학습자들이 책임과 역할을 가질 수 있도록 전쟁과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잘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 준거로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들은 6⋅25전쟁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빈약하게 서술하고 있었는데, 이는 중립성의 확보나 학습량의 축소라기보다는 역사적 사건 간의 인과관계를 드러내지 못해 학생들의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있었다. 또한 11종의 검정교과서는 서술 분량과 내용에 대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생들이 국가의 역사에대하여 서로 다르게 배우게 되는 것은 사회의 이념 갈등의 심화와 양극화를 극대화하는 데 일조할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의 6⋅25 전쟁 서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래 교과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에 대해 처음으로 사용된 검정교과서를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는 의의를 가지며, 또한 현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5-6학년군 교과서가 만들어지고 있는시기라는 점에서 시의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향후 초등 사회 교육과정의 개선과교과서 발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Korean War was a significant event related to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several problems have recently been pointed out in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War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desirable description of the Korean War in textbooks, and based on this, examines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War in 11 types of textbook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by publisher for the 2023 school year to determine what specific issues are problematic. Studying of the Korean War, the national (regime) identity (anti-communism and liberal democracy), diplomatic strategy, responsibility and role for future generations are selected.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whether the national (regime) identity is clearly revealed when describ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war, whether diplomatic mechanisms are clearly revealed in the armistice process and whether tasks to be solved related to the war are presented well so that learners could have responsibilities and roles.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described the Korean War poorly overall.
    This was not about securing neutrality or reducing the amount of learning, but rather failing to reve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istorical events, making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Additionally, the 11 types of certified textbooks showed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description and content. There is concern that students learning differently about their country's history may contribute to deepening ideological conflict and maximizing polarization in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problem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 War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future textboo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specifically deal with the certified textbooks used for the first time in social studie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also timely in that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group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re currently being created.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improve elementary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ublish textbook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