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정사상과 종말론적 생태- 윤리 (Process Thought And Eschatological Eco-eth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06.06
32P 미리보기
과정사상과 종말론적 생태- 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16호 / 221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승갑

    초록

    기독교적 신앙과 삶의 많은 전통들을 되돌아 볼때,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창조(자연)에 대한 그동안의 인류의 처신들에
    서 그토록 왜곡된 지배와 억압의 관계들을 지지해 온 교리적 주제들
    가운데 하나는 다름 아닌 바로 종말론이다. 즉 종말론을 향한 태도는
    설교, 예전, 그리고 기독교적 실천, 특히 인간과 인간이외의 피조물들을
    넘어선 공동체들 안에서의 기독교적 제자직에 대한 이해와 관련해서
    결정적인 함축적 의미들을 가져왔던 것이다. 개인적이든 또한 집단적인
    의미에서든 종말론은 필연적으로 윤리를 수반하며, 특히 사람들의 환경
    적 주변 상황들에 대한 각자의 윤리적 입장을 구체화함에 있어서 각별
    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생태-윤리를 포함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요구되는 하나의 책임적인 기독교 종말론은 생
    태학적으로 적합한, 즉 생태학적 위기 상황에 관련성을 가지는 종말론
    이다. 생태- 여성신학자로서 또한 과정사상의 전통 안에서 신학을 하는
    켈러(Catherine Keller)는,“하나의 책임적인 기독교 종말론은 그것이
    우리의 지구(행성)를 구하기 위해 설교, 교육, 모델링, 조직화, 정치, 기
    도와 일들에 동기를 부여한다는 의미에서 하나의 생태학적 종말론이어
    야 한다”고 주장한다. 켈러는 그녀가 주장하는 생태학적으로 개혁된
    종말론을 말하면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즉 진정“의미심장하고도 효
    과적으로 푸른 묵시(Green Apocalypse)를 말할 수 없다면, 기독교 신
    학은 두 번째 천년을 마감하는 현 시점에서 실로 하찮은 추구에 지나
    지 않는다.”

    영어초록

    In this essay, the writer intends to propose a model of a more
    relevant eschatological eco-ethics for th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believers, being challenged to respond more actively to their
    suffering environment.
    Today, ecological crisis is the most pressing issue in theology and
    Christian life. Thus theology of today is challenged to expand its
    ethical dimensions to nature, that is, non-human creation, which is
    suffering because of human exploitation. Anyone who wants to
    construct a relevant theology for today must reconsider how to speak
    more meaningfully, especially in ecological senses. Then, why do we
    have to reconsider our eschatology? Eschatology always implies
    ethics. In other words, eschatological vision has critical implications
    for any mode of Christian ethical thinking. An attitude toward
    eschatolog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eaching, liturgy,
    Christian practice,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discipleship.
    Yet, eschatology often fails to generate adequate ethics,
    because Christian beliefs in God’s ultimate victory over evil, God’s
    unilateral act of creation, the reality of the kingdom of God predestined
    in God’s cosmic plan, and the absolute discontinuity between
    this present world and the coming world of God, tend to degenerate
    into a kind of determinism, naive optimism, otherworldly escapism
    etc, consequently loos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lives of people,
    especially within church communities, as witnessed distinctively in
    the theology and practice of th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in
    South Korea.
    Meanwhile, why are we challenged to turn to process thought,
    namely, its vision of the ways of God’s dealing with the world? A
    Christian eschatology is marked by certain cosmological views,
    which frame concepts of the nature of God and God’s relationship to
    the world. And these cosmological frameworks vary in each historical
    period. The traditional parameters of eschatology in the western
    Christian theology have been challenged by various modern developments
    in the cosmological sciences, e.g.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quantum physics, and by those attempts to integrate those scientific
    findings into theology. Now, any effective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es requires that the dominant worldview be succeeded by an
    alternative worldview that gives a crucial priority to an eco-logically
    sustainable future for the earth, or is enough to face not only ethnic
    and religious conflicts and economic injustice but also environmental
    destruction. Meanwhile, the Whiteheadean process theology has
    challenged contemporary theology with new per-spectives in
    cosmology and new eschatological ideas of the future of the world.
    Especially, according to the process notions of God, God of
    “Primordial” nature lures eternal aims, provides eternal possibilities,
    and enables the world/each individual entities to become consequently
    determinate at certain values within divinely given freedom.
    And God, in “Consequent” nature, feels, experiences, retains,
    eternally preserves each completed entities; Nothing is lost in the life
    and eternal memory of God, and God takes the complete entities into
    God’s divine life as objects of god’s perfect prehension and gives
    them “objective immortality” in God’s consequent being by God’s
    valuation of their achievement. In the “Persuasive Power,” furthermore,
    God is at work using persuasive, non-coercive power to draw
    all entities toward a future consistent with God’s primordial nature
    (God’s initial aim). Based on those particular notions, process
    eschatology proposes that future is not just coming from God, but
    becoming in God and of God. The new can be not only something we
    encounter but something to which we contribute. And our freedom
    plays its role in leading us to a future kingdom, the fullness of God’s
    responsive love as experienced in the enjoyment of all entities.
    Accordingly, future as results of present, and past happenings, is
    genuinely open and risky too. All these process eschatological
    visions, that is, “Openness to newness(novelty/future possibilities),”
    “Evolutionary creation (relationality of God and humanity in ongoing
    c r e a t i o n ) , ” “the kingdom of God in a continuation of the temporal
    world” propose a more responsible attitude to the pressing environmental
    dangers in these days,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human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of the world and challenging human
    beings to be ethically more responsive to neighbors, both humans and
    non-human creature.
    When challenged by a process-relational eschatology and its ecoethical
    implications, with its world-affirming emphases upon the uncertainty
    of future possibilities, the cooperation of God and humanity
    in the continuation of cre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this present
    world in eschatological realities, our new eco-spirituality and
    theological eco-ethics might express the relevance of Christian faith
    to conscientious people in the present world, who need an ultimate
    ground for their “ineradicable confidence” in the final worth of
    human and non-human lives. Similarly, ethical perspectives coming
    from process eschatology challenge the Korean churches and believers
    to seriously consider such ecologically relevant teachings as open
    possibilities, human contribution, and historical continuity. These
    teachings are relevant to the future of people and of creation in the
    country. For the Koreans, both believers and non-believers, a decision
    must be made regarding a relevant ecological ethics, “not just for
    the sake of an abstract future,” but for “a new community” already
    beginning to form in the practice of eco-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