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비나스 현상학을 통한 존 웨슬리 성결론의 타자성 연구 ―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therness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the Light of Emmanuel Levinas’ Phenomenology: Focusing on ‘Christian Perfec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2.06
29P 미리보기
레비나스 현상학을 통한 존 웨슬리 성결론의 타자성 연구 ―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67호 / 165 ~ 193페이지
    · 저자명 : 배명지

    초록

    이 논문은 웨슬리 성결론에서의 타자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레비나스의 타자현상학이 갖는 유익성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먼저 레비나스의 현상학을 알기 위해 현상학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본다. 그것은 지향성인데, 현상학의 시초인 후설에게서 이 개념은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레비나 스에게서는 이 지향성이 타자를 향하는 것을 보게 된다. 레비나스에게서 주체는 타자 없이 혼자서는 불가능한 주체이다. 무엇보다 요소세계에서 만나는 타자들, 특별히 ‘사람’들은 나의 것으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성을 갖고 있다. 이처럼 레비나스는 주체에게로 해석되고 환원되어지는 의미의 전체성과 반대되는 의미로 타자의 타자성을 주장한다. 결국 이 타자성은 신학함에 있어서, 특별히 웨슬리의 성결론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 된다.
    하나님의 타자성인 거룩성을 나타내는 성결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간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성경 중심적으로, 타자 하나님으로부터 새롭게 이해되는 성결 이해가 필요하다. 이 성결을 인간 이해의 범주, 심리적, 혹은 문자적으로만 접근하게 되면 성결이 갖고 있는 진정한 의미와 그 타자성을 상실해 버린다. 웨슬리 또한 당시의 성결에 대한 잘못된 이해들을 비판하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성결이 무엇인지 자신의 설교 “그리스도인의 완전”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연구자는 웨슬리가 주장하는 성결의 특징에서 ‘완전’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인간 차원에서 이해되는 의미와 다른, 완전하신 그리스도가 내주함으로써 가능케 되는 완전인 것을 밝힘을 통하여, 성결이 인간의 노력으로 가능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성결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즉 구약적인 이해 가 아닌, 신약적인 이해(타자적 이해)가 필요한데, 그것은 종말론적으로 완성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가능케 되어지는 성결이라는 점이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웨슬리의 성결론에 있어서 타자적 특성이 있음을 밝혀냈고, 그 타자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레비나스의 현상학의 탁월성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usefulness of Levinas's Phenome- nology of the Otherness in expressing the Otherness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order to know Levinas' pheno- menology, the writer first looks at the general character- istics of phenomenology. It is ‘intentiona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Husserl's thought, who can be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phenomenology.
    In Levinas, this intentionality appears to be toward the Other, and the subject cannot exist alone without an object(the Other). Above all, the Others encountered in the world of elements, especially in ‘human’, and they have the Otherness that cannot be reduced to that of the subject. As such, Levinas asserts the Otherness of the Other as opposed to Totality, which is inter- preted as the subject and restored. After all, this Otherness becomes an important methodology in understanding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particular.
    In understanding sanctification that represents Holiness, the Otherness of God, it is necessary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Theory from God, not from anthropocentrism. If you approach this ‘Sanctification’ only through anthropocentrism or psychologicalism, or literalistic, you may lose the true meaning of holiness and its Otherness.
    Wesley also criticizes the mis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at the time, and describes in detail what 'Sanctification' is in the true sense in his sermon “Christian Perfection.” The writer reveals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Perfec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sanctification claimed by Wesley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meaning understood from the level of anthropocentrism, and that the perfection only made possible by the perfect indwelling of Christ.
    Also,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sanctification, a new approach, ‘New Testament Perspective’ (Otherness), not ‘Old Testament Perspective,’ is needed, which is sanctification made possible through faith in Christ who has been completed eschatologically. The Writer reveals the Otherness characteristic i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nd presents the excellence of Levinas' Phenomenology in effectively expre- ssing the Other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