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착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존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재평가 (A Revaluation of John L. Nevius’ Method of Missions in Light of Indigenization)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06
49P 미리보기
토착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존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재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복음과 선교 / 34권 / 2호 / 281 ~ 329페이지
    · 저자명 : 홍기영

    초록

    존 네비우스는 1829년 3월 4일 뉴욕 세네카에서 태어났으며 1893년 10월 19일 중국 산동 체푸에서 소천하였다. 그는 40년간 중국에서 교차문화적 선교사로서 주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그 땅에 임하게 하기 위하여 복음을 증거 하고 교회를 개척하였다. 그는 교회를 개척할 때 선교지의 신생교회가 외국 재원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옛 선교방법을 지양하고 처음부터 독립적으로 심겨지고 성장하는 토착적 교회의 개척을 격려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그것을 그의 선교지에서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그의 새로운 선교방법은 기본적으로 헨리 벤이나 루푸스 앤더슨이 제창한 삼자원리, 즉 자급, 자치, 자전에 기초한 방법으로서 폴 히버트가 제시한 4자원리 및 알란 티펫이 제시한 6자원리를 부분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반영하였다.
    존 네비우스는 삼자원리에 기초한 새로운 선교방법을 개발하였지만 에버렛 헌트가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새로운 방법은 삼자원리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성경공부를 비롯한 교육과 훈련을 포함하였다. 그가 제시한 체계적인 성경공부는 개교회, 지역, 그리고 국가 단위에서의 성경공부를 반영하였으며 지침서와 요리문답을 통한 회심자들의 교육과 훈련을 반영하고 있다. 네비우스의 선교방법이 몇 가지 이유로 인하여 그의 주 선교지역인 산동에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한국에서 큰 효과를 거두었다. 1890년 호레이스 G. 언더우드를 비롯한 한국장로교 선교사들은 그를 초청하여 그의 새로운 선교방법에 관하여 경청하였으며 그것을 선교정책으로 채택하여 적극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하였다.
    존 네비우스는 교회를 개척하고 성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자원리를 강조하고 체계적인 성경공부는 물론 교육과 훈련의 행정을 강조하였지만 스스로 신학 해야 한다는 성숙한 토착적 교회의 특징을 강조하지는 않았다. 비록 본인 자신이 규칙적으로 1년에 2회씩 관할 지역을 순회방문하고 격려하고 위로하는 사역으로 후배 선교사들과 현지인들에게 훈련의 본을 보였지만 토착적 신학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삼자원리 중에서도 자급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프래그마티즘의 물질주의적 경향을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그의 선교지에서도 좋은 이미지를 남기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의 선교방법은 비록 오래 전에 개발되었으나 상황에 맞게 적용된다면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열매를 거둘 것이다.

    영어초록

    John L. Nevius (1829-1893) was born on March 4, 1829 in Seneca County, New York. He decided to become a cross-cultural missionary when he attended the Communion Service at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He married Helen S. Coan on June 15, 1853. John and his wife left Boston for Ningpo, China in September 19, 1853. They learned Chinese and John could preach with limited Chinese after a year. John visited many places to preach the Gospel, wrote many articles for new missionaries in China, and completed a brief Catechism. They moved from Ningpo to Chefoo, Santung. John continued to carry on an itinerary ministry for education, discipline, encouragement, and evangelism also in Santung. He invited church leaders to his house to let them have an advanced level of Bible Study.
    He made tracts for personal evangelism and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methods of evangelism with other missionaries. As Everett N. Hunt pointed out, he and his wife lived as neither “natives” nor “stiff neck westerners.” John not only evangelized Chinese but also participated in social work to help people in need during critical times. In 1889, he was chosen as a speaker to tell his new mission method in the missionary conference in China. In 1890, he was invited by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to share his new mission method with them. He died on October 19, 1893 at the age of 64.
    Nevius’ method was published in the Chinese Recorder. At last, his articles were published as a small book in 1885. He showed his new method in contrast to the old one. However, Calvin Mateer, a colleague who worked together in the same province severely criticized his new method. His new method is the missionary way in which new churches could continue to grow as an indigenous church through the “three selfs” principle: self-support, self-government, and self-propagation from the start while the old method let the new churches heavily depend upon the foreign resources. He was sure that his new mission method is biblical and practical on the mission fields. His method includes not only the “three selfs” principle but also systematic Bible study and discipline. John realized that the young churches could not grow without learning the word of God. In addition, he emphasized education based on the Manual and Catechism. He developed them for himself to help the new converts.
    John Nevius thought that the new converts should not become a “rice Christian” through his new method. However, his new method is not the only method which could be applicable everywhere in the mission field. His method was effective in Korea, especially in the northwestern area while the method was not effective as much as he expected in China. His new method produced strong independent churches in Korea and helped them grow in terms of an indigenous church. John Nevius’ method, based on the “three selfs” principle, was developed into the “four selfs” principle, the “six selfs” principle, and the “seven selfs” principle. In conclusion, his new mission method can be summarized as a catalyst to enhance planting and growing an indigenous church. As a result, his new method can be still applicable in many various mission fields all over the world until our Lord Jesus Christ comes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