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 변용과 생활 민속의 타자성 연구 (The Transformation of Ethnic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Cultural Otherness in the daily Lif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4.06
29P 미리보기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 변용과 생활 민속의 타자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58권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김면

    초록

    본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내적 통합문제를 다루면서 국내 이주 조선족의 사례를 통해 중국동포의 이질적인 생활실태를 조사하고 어떻게 새로운 통일문화로 극복해 나아가야할지 살펴보고자 했다. 저자는 국내 조선족을 고찰하면서 이들이 다른 환경에서 어떠한 새로운 문화양식을 형성하여왔고 정체성의 변화를 겪어왔는지 구술을 통해 인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조선족이 현재 갖고 있는 민족정체성과 생활문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고향’, ‘전통’, ‘혈연과 종족성’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국내 조선족은 민족구성원이면서 이중 언어구사자이듯이, 중국과 한국이라는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중적인 정체성을 발현하여왔다. 이들은 과거 한족과의 관계에서 국가정체성을 고민하였고, 한국에서는 변화된 사회로 인해 문화접변을 경험하고 종족정체성의 변용을 경험해야 했다. 분단과 전쟁 그리고 냉전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분리되어 살아야 했던 조선족, 이들은 한반도를 떠나 만주에 적응하면서 고단한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아왔다. 다시 조국으로 돌아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나 방문한 조상의 고향은 낯선 땅이 되었고 낯선 이방인처럼 아픔을 느껴야 했다.
    마지막 장에서 조선족 디아스포라에서 보인 상이한 생활문화의 격차에 대해 향후 연구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통일을 위한 시각에서 조선족과 한국인 관계에서 보인 문화적 이질성의 갈등과 정체성의 문제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복수적 장소에 귀속된 조선족의 문화적 차이와 그 실체를 인식하면서 이들의 문화창조력을 인정하고 상호이해의 폭을 넓혀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통일의 과정으로서 과거 민속원형에 집중하기 보다는 현대 환경에서 새로이 변용된 조선족의 복합문화적 성격과 그 실체를 인정하고 풍부한 민족문화의 자산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ethnic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Korea and tries to discover the cultural otherness in the daily Life. The oral interviews with 15 Korean-Chinese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daily lives of the Korean-Chinese(Chosonjok) were investigated as important socio-cultural contexts in which their ethnic identities are played out.
    Korea is the home country of their ancestors. They have tried to maintain their Korean identity as members of an ethnic minority group in China. They came to Korea to get opportunities for economic improvement. They expected to share cultural affiliation as a cognate nation. However, they are not integrated to Korean society. In Korean society, they had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ir culture. They were asked about their nationalities, and came to realize their status as foreign workers, though they regarded themselves as being the same as Koreans in their homeland. A majority of Korean Chinese don’t perceive themselves as treated equally. The discrimination,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stoms, developed into an barrier between themselves and Koreans. Their identities were changed and transformed since they migrated into Korea. They verified their identity through loose solidarity with Koreans. The Korean-Chinese reproduce their ethnic identities in a variety of ways. They communicated with chinese communities as self-supporting communities to build social networks that enable them to adapt to the Korean way of life. ‘Chosonjok Little Town’ serves as a small Hometown in Seoul as a specific created by those from China. And their alternative identities can be expressed in translocal identities.
    They want to be treated rightly as Korean compatrio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Korean-Chinese are immersed in their own culture. The current conflicts grows if specific Korean-Chinese experiences are not considered and the specific ways of understanding and life-achievements are not recogniz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knowledg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their lif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