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연한 이주민 되기: 태국 치앙마이 카친족 이주민의 정체성 변화 고찰 (Being Flexible Migrants: The Change in Identity of Kachin Migrants in Chiang Mai, Thailan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11
35P 미리보기
유연한 이주민 되기: 태국 치앙마이 카친족 이주민의 정체성 변화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51권 / 3호 / 365 ~ 399페이지
    · 저자명 : 한유석

    초록

    본고는 태국 치앙마이로 이주한 미얀마 출신 카친족 이주민의 종족 정체성의 변화와 구성양상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다. 필자는 카친족 이주민들이 자신들의 종족 정체성을 지키고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활동과 공간 전유 양상, 다양한 하위 종족집단을 엮는 범-카친(Pan- Kachin)적 정체성의 동인과 구성 양상, 각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른 카친족 내부의 분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카친족 이주민들은 태국이라는 낯선 타국에서 범-카친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범-카친적 정체성은 WCC(Wunpawng Christian Church)와 반마이싸막키(Ban Mai Samakkhi)라는 카친족만의 전유 공간과 그 공간 속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활동들, 특히 종족의례를 통해 공고해진다. 이와 더불어 공통의 언어(찡퍼어)와 종교(기독교)는 범-카친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강력한 기제로 작동한다. 한편 카친족 이주민들은 출생국가와 제1언어, 하위종족집단과 씨족 출신에 따른 위계, 사회적 지위와 신분증에 따라 구별되는데, 이러한 차이는 카친족 이주민 내부의 분화를 낳는다. 이는 같은 카친족이지만 개개인이 처한 상황과 출신에 따라 일정 정도 다른 정체성을 소유할 가능성과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카친족 이주민들은 태국 사회에서 만들어내는 타자에 대한 부정적 스테레오타입과 규정에 영향을 받으며일정 정도 부정적 자기인식을 체화하는 한편, 한편으로는 일상적 장에서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기제를 만들어낸다. 수용과 저항의 간극 속에서 자신들을 위치 짓는 것이다.
    카친적 이주민들은 이 중층적 과정 속에서 태국 내 구성원이자 동시에 카친족이라는 유연하고 혼종적인 정체성을 체화한 이주민으로 변화한다. 저개발 국가에서 타국의 발전된도시로 이주한 이주민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로서 자신들의 종족성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한편, 생존을 위해 이주한 도시에서 양가적·혼종적 정체성을 발달시키고, 상황과 이익에맞게 유연한 정체성을 발현한다. 기존 굼사(Gumsa)와 굼라오(Gumlao), 샨 체제(Shan)를 넘나들던 유연한 존재였던 카친족이 태국이라는 낯선 시공간 속에서 다시 한 번 유연함을 발휘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present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changes and compositional patterns of the identity of Kachin migrants who migrated to Chiang Mai, Thailand from Myanmar. I explore the Kachin migrants’ practical activities and spatial appropriations to maintain their ethnic identity and to strengthen it, as well as the motives and compositional patterns of pan–Kachin identity which bind the various sub-groups and the differentiation patterns characterizing each in the situations which they have faced.
    Kachin migrants strive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pan–Kachin identity in Thailand, an unfamiliar country. The pan–Kachin identity is strengthened and promoted through the exclusivity of Kachin–specific spaces, such as the WCC (Wunpawng Christian Church) and the Ban Mai Samakkhi, and the various activities which especially include the rituals.
    Furthermore, a common language (Jinghpaw) and religion (Christianity) work as a powerful mechanism to form the pan–Kachin identity. On the other hand, Kachin migrants are distinguished by a country of birth and their first language, as well as by the hierarchy of subgroups and clan origins by which they gain the social status, as well as by the identification card.
    These differences lead to the differentiation patterns within the Kachin migrant community. These differentiations are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possessing a different ident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 origin of the individual in spite of belonging to the same Kachin ethnic group. Finally, Kachin migrants are influenced by negative stereotypes and definitions of “the Other” imposed upon them by Thai society, and they embody a certain degree of negative self–recognition while also creating a passive resistance mechanism to be used in daily life. They have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middl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In the process, Kachin migrants are transformed into members of Thailand and also transformed into Kachin migrants who are flexible and embody the hybrid identity. As 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now living in developed cities in another country, they strive to maintain their ethnicity while developing an ambivalent and hybrid identity in the city where they have migrated for a living, and they exhibit a flexible identit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for their benefit. Kachin wh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Gumsa, Gumlao, and Shan systems show their flexibility in a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Thai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