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렌족 재정착 난민의 이동과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Refugees’ Movement and Adjust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9.06
33P 미리보기
카렌족 재정착 난민의 이동과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디아스포라연구 / 13권 / 1호 / 135 ~ 167페이지
    · 저자명 : 박봉수, 김영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카렌족 재정착 난민의 적응 경험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이들이 왜 미얀마를 떠나 난민으로 태국에 갔으며, 태국에서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재정착 난민이 되어 한국으로 이주하게 된 배경은 무엇이며, 이주한 후 어떠한 경험하고, 어떻게 어려움을 대처하는지를 삶의 궤적뿐만 아니라 이동적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는 카렌족 재정착 난민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더 나아가 재정착 난민을 위한 제도적 기틀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카렌족 재정착 난민 5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차 이주: 미얀마에서 태국으로는 ‘어두운 터널’, ‘대안적 장소의 선택’, ‘벼랑 끝에 내몰린 삶’, ‘자녀를 위한 도전’으로 드러났다. 둘째, 2차 이주: 태국에서 한국으로는 ‘깨고 싶지 않은 단꿈’, ‘등을 누르는 삶의 무게’, ‘이웃의 이방인 카렌 사람’, ‘카렌족 뿌리내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첫째, 재정착 난민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시민을 대상으로 상호문화의 가치와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다문화 감수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재정착 난민의 역량강화를 위해 사회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 박물관, 문화센터 등을 재정착 난민을 위한 무형식 학습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를 가진 재정착 난민을 위해 「장애인복지법」에 재정착 난민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하여 실질적 지원과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재정착 난민의 사회통합을 위해 재정착 난민 전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전환학습을 제공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conflicts of Karen refugees in adjustment to a new life in Korea and to provide its results as data for devising the frame for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settlement of refugees in Korea. For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by having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refuge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interview with Karen refugees in Thailand were shown to have ideas of ‘dark inherent tunnel’, ‘escape to survive’, ‘life on the brink of the precipice’, and ‘challenge for children’. Second, from the interview with Krean refugees in Korea were shown to have ideas of ‘sweet dream not willing to break’, ‘weight of life on the back’, ‘karen, an alien in the neighborhood’, and ‘putting down roots of Karen’.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programs for civilians to raise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different culture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refugees so they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al culture of Korea. Third, schools, museums, cultural centers, and other public institutes should be opened to be used as a place for informal learning. Fourth, for refugees with disab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refugees within the scope of beneficiaries of the Act of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s and protection. Fifth,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ransformative- learning programs for the entire refugee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