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소수민족정책과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China's Minority Policy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Diaspo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5
26P 미리보기
중국의 소수민족정책과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치학회보 / 25권 / 2호 / 81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정태

    초록

    중국은 조선족을 중국소수민족 조선족(조선민족, 朝鮮族, 韓民族, Korean)이라고 칭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중국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의 설명에 의하면 조선족은 중국 소수민족 가운데 특별한 집단이다. 인구 약180만 명 정도이지만 영향력과 정치적 위상이 다른 소수민족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그 이유는 한국과 북한이라는 2개의 모국(母國)을 가지고 있으며, ‘남북한과의 관계 속에서 규정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조선족 스스로는 신중국을 건립한 중화민족의 일원이고, 정당한 중국공민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에게는 한국이나 북한은 조상이 살던 고향나라의 의미를 가진 고국일 뿐이다. 그러나 법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중국인으로 인정되는 그들의 내면에는 여전히 감정적, 정서적 측면에서 한족과는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스스로 이방인이라고 느끼는 조선족들 가운데는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남한과 북한사이,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중국 동포’가 될 것인지 중국인이 될 것인지를 두고 고민한다.
    그리고 2017년의 시점에서 조선족 디아스포라는 또 다른 딜레마에 봉착하고 있다. 강한 중국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변수와 조선족 사회의 해체라는 새로운 위기에 당면한 것이다. 또한 조선족은 사드문제나 북핵문제로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변동될 때마다 난처해진다. 이것이 중국 조선족의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고, 그 근저에 존재하는 핵심이 바로 ‘정체성’의 문제이다. 지금 조선족사회는 또 다시 디지털유목민이 되거나 해체되어 세계 각지로 이동하고 있다.

    영어초록

    China defines the Korean-Chinese as one of its ethnic minority group(조선민족, 朝鮮族, 韓民族, Korean) and recognize them as Chinese citizen. According to Chinese explanation, they are special group among other ethnic minorities in China. Despite their small number–approximately 1.8 million - their influence and political status are very high compare to other ethnic minorities in the country. This high status enjoyed by Korean-Chinese people is due to their dual-national identities–as south and north Korean –which make them defined within the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Korean-Chinese people think themselves as members of China who built the country, and as just Chinese citizens. Korea and North Korea only means a country where their ancestors lived. However, even though they enjoy legal and political rights in China there is an issue with emotional attachment, making them to perceive they are different to major ethnic group in China. Among those who feel the difference, many have confused views on their identities. They fret whether to become “Chinese compatriots” or Chinese, in the context of Korea and north Korea, and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In 2017, Korean Diaspora is faced by another dilemma – emergence of strong China and dismantling of Korean-Chinese society poses a new threat. Korean-Chinese people experience difficulties whenever Chinese policy on Korean peninsula changes due to political reason such as installation of THAAD or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is is the situation of Korean-Chinese today, bridled by their multiple identities. Korean-Chinese society is moving all over the world being disbanded or as digital noma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