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과 서술양상 (The writing status and the narrating aspects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11
27P 미리보기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과 서술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51호 / 9 ~ 35페이지
    · 저자명 : 고유림

    초록

    중국조선족문학을 바라보는 국내의 시각은 조선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동궤를 이루며 형성되어 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국내 연구들은 중국조선족문학의 개별 작품들을 한민족디아스포라, 재외한인, 중국조선족디아스포라와 같은 디아스포라 담론장 안에서 또는 장르사 연구로 한정시켜 논의해 왔다. 그러나 실제 조선족들의 역사적 문맥 안에서 중국조선족이 서술한 문학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균형 있는 시선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중국조선족들의 역사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관점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관점들이 문학사에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파악할 때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문학사를 서술해 온 그간의 전통에 새로운 참조항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저술된 총 4종의 중국조선족문학사의 저술현황을 파악하고, 그 체제 및 시기구분과 서술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중국조선족문학사는 중국조선족문학의 사적 흐름을 집대성한 조성일(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에 의해 처음으로 저술되었다. 그 이후의 문학사들은 자료의 확충과 시기 조정 및 시기의 확대, 작품 선택의 기준이라는 점에서 조성일(외)의 문학사와 다른 서술태도를 보인다. 또한, 조성일(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제외한 나머지 세 편의 문학사에서 모두 천쓰허(陳思和)의 ‘무명’과 ‘공명’의 개념을 차용하여 시기를 명명하고 있으며, 상․하한 시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문학사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자기 문학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민족과 국가정체성으로 수렴되어 자신들의 문학사를 저술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0년대 이후에 저술된 중국조선족문학사는 중국이나 기타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 안에서 객관적으로 자신들의 문학사를 평가하려는 서술태도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조선족임을 부각시키려는 인식이 드러나 있다.

    영어초록

    The domestic viewpoint on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as been shaped with the general awarenes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ccordingly, the domestic researches on individual work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ave been discussed restricted to the study on the history of genre or the discussion of diaspora such as the Korean diaspora, overseas Korean, and the Chinese-Korean diaspora up to now.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considering wholly the literature history that the Chinese-Koreans have described within their own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makes securing a balanced approach to the research made previously main object. That is to say that understanding the viewpoints of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Chinese-Koreans and the meaning on how such viewpoin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history of their literature will be able to be new reference in tradition so far in which the history of literature has been narrated focusing on the ethnic and the n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peculated the current status of writing of the four kinds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narrated up to now, and the format and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the narrative aspects.
    In summary, the first work on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started from “The history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written by Cho sung-il et al. who made a comprehensive survey of the historical stream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After that time,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has been narrated with different aspects from the first work in view of the enlargement of reference, the period modification, extension of the period 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a work. In addition, in the other three literature history except the first work, the period was designated borrowing the concept of ‘無名’ and ‘共名’ suggested by ‘陳思和’ and the criteria dividing the period into upper and lower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iterature history. Finally, when it coms to how to recognize their own literature, they had showed the writing aspects converging into the ethnic identity and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early stage of the Chinese-Korean literature history while they have showed the writing attitude judging their literature history objectively with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literature and other foreign literature after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