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독일매매법에 있어서 하자판단의 기준의 변화 - 소비자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의 성상에 관한 당사자들의 합의에 대한 독일민법 제476조의 의미와 관련하여 - (Studie über Veränderung hinsichtlich des Vorliegens des Sachmangels im reformierten BGB – insbesonders im Zusammenhang mit der negativen Beschaffenheitsvereinbarung und derer Wirksamkeit nach § 476 B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02
32P 미리보기
개정 독일매매법에 있어서 하자판단의 기준의 변화 - 소비자매매에 있어서 매매목적물의 성상에 관한 당사자들의 합의에 대한 독일민법 제476조의 의미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4호 / 595 ~ 626페이지
    · 저자명 : 김화

    초록

    매매목적물의 물건의 하자의 존재 여부는 매수인에게는 가장 중요한 법적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매도인에 대한 하자담보책임의 인정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건의 하자 존재여부는 매수인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하자의 존재여부 판단과 관련하여서 독일민법은 2022년에 독일민법을 개정하면서 기존의 하자판단의 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는 유럽연합의 물품매매지침을 국내법화하면서 물품매매지침이 가지고 있던 체계와 구조를 전부 독일민법에 이식하게 되면서 이루어진 변화이다. 당해 물품매매지침이 이른바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관련 법률규정에 대한 완전한 조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가피한 면도 있었지만, 이러한 변경된 체계를 당해 물품매매지침이 목적으로 하는 소비자매매에 한정하지 않았고, 모든 일반 매매법의 체계를 이에 맞추어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작은 변화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독일 매매법이 물건의 하자 판단에 있어서 일종의 단계적 구조를 지켜온 것은 사적자치라는 민법의 일반원칙에서 파생된 것으로 주관적 하자판단이 객관적 하자판단에 비해서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오랜 사상적 기초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민법은 물건의 하자판단과 관련하여서 독일민법 제434조를 개정하면서 이른바 주관적 하자와 객관적 하자를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개정하였다. 이를 통하여서 객관적 하자가 이른바 물품의 성상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를 통해서 실무상 계속적으로 문제가 되어 왔던 매수인의 보호와 관련된 문제를 입법적으로 해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민법은 독일민법 제434조 제3항에서 매매목적물의 성상에 대한 객관적 요구조건을 규정하면서 그에 대한 일종의 유보로서 이러한 객관적 기준은 매매당사자간의 유효한 약정을 통해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적자치의 원칙이 함께 기능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반하여서 소비자매매의 경우에는 소비자에게 불리한 성상의 합의, 이른바 소극적 성상합의에 대해서는 그 합의의 유효성에 엄격한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독일민법 제476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소극적 성상합의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 소비자가 물품의 성상이 객관적 요구사항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서 특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과 이러한 소극적 성상합의가 명시적,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서 개정 전 독일민법에서 매수인 내지 소비자 보호에 있어서 문제가 되던 상황, 즉 매도인이 당해 물품의 성상에 대한 설명을 계약서에 단순히 담아두고 이를 당사자간의 주관적 성상의 합의로서 주장함으로써 매수인의 하자담보책임에 따른 구제수단의 행사가 전면적으로 제한되는 경우를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 보호의 측면에서는 큰 발전이라고 볼 수 있지만, 중고물품의 거래나 온라인 거래 등에 있어서는 실무상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독일민법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고찰해 보면 이는 지금까지 사적자치를 근거로 이론적 정합성을 위해 인정되어왔던 주관적 하자의 객관적 하자에 대한 우선성이 실제에 있어서는 매수인 보호를 위해서 충분히 기능하지 못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적어도 소비자매매에 있어서 주관적 하자와 객관적 하자의 판단을 중첩적으로 요구하고, 객관적 하자를 위한 요구조건을 변경하기 위하여 소극적 성상합의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방식의 입법 방향은 세계적인 매매법의 흐름과도 일치하고, 우리법의 발전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영어초록

    Das Vorliegen des Sachmangels wird ein rechtlicher Fokus des Kaufvertragsparteien. All die Mangelgewährleistung und die daraus resultierten Rechtbehelfe basiert eigentlich darauf, ob im bestimmten Fall ein Sachmangel vorliegt. Im Jahr 2022 wurde im BGB eine große Regelungsveränderung vorgenommen und zwar ging es darauf, dass die neue Warenkaufrichtlinie im BGB umgesetzt werden sollte. Diese Richtlinie zielt auf Vollharmornisierung über Regulierung des Verbraucherskaufs auf der EU-Ebene, aufgrund desssen gibt es weniger freie Raum für deutschen Gesetzgeber. Aus diesem Anlass hat der deutsche Gesetzgeber vollkommend Kriterien über Beurteilung des Vorliegens von Sachmangel verändert. Demnach werden im BGB n.F. die Anforderungen über die Kaufware im Sinne des Vorliegens des Mangels sowohl auf subjektiver Ebene als auch auf objektiver Ebene kumulativ gestellt. D.h. nach dem BGB n.F. steht objektiver Mangelbegriff mit dem subjektiven Mangelbegriff gleichrangig. Es ist nicht trivale Veränderung im BGB. Bislang halt das BGB kontinuierlich fest, dass subjektive Mangelbegriff dem objektiven Mangelbegriff immer vorgeht. D.h. im Zusammenhang mit der Beurteilung des Mangels liegt klare Priorität zwischen dem subjektiven und objektiven Mangelbegriff vor. Aber dieses traditionelle System wird durch Reformierung des BGB abgeschafft. Es spielt sich wider, dass in der Praxis nach dem alten System der Käufer, im meisten Fall der Verbraucher nicht ausreichend vor dem Verkäufer geschützt wird. Es tritt häufig ein, dass eine Beschaffenheitsbeschreibung des Verkäufers im Kaufvertrag vorgeschrieben wird. Dies gilt in der Praxis quasi eine Gewährleistungsausschussvereinbarung. Mindestens nach BGB n.F. funktioniert objektive Anforderungen über Beschaffenheit des Ware ein Minumum der erforderlichen Beschaffenheit der Ware.
    Wenn man seinen Blick auf Beschaffenheitsvereinbarung zwischen dem Unternehmer und dem Verbraucher wirf, springt die Regelung namens § 476 BGB n.F. ins Auge. Dieser Regel schreibt vor, wenn eine negative Beschaffenheitsvereinbarung zwischen dem Unternehmer und dem Verbraucher als wirksam gilt. § 476 BGB n.F. sieht zwei Voraussetzungen als Wirksamkeit derartiger Vereinbarung vor. Erstens, der Verbraucher als Käufer soll sich im Kenntnis setzten, dass die vereinbarte Beschaffenheit nicht den objektiven Anforderungen nach § 434 Abs. 3 BGB n.F. entspricht. Zweitens, diese negative Vereinbarung soll ausdrücklich sowie gesondert vorgenommen werden. Diese strengen Voraussetzungen, die im Rahmen des Verbraucherkaufvertrages für Wirksamkeit der negativen Beschaffenheitsvereinbarung erfordert werden, können weiterhin einen Beitrag zum Schutz des Verbrauchers leisten.
    Aus dem Perspektive im Sinne des Novellierung des KBGB weist diese Veränderung des BGB ein klaren Wege: Bislang fuktioniert der stufenweise Beurteilungsvorgang hinsichtlich des Vorliegens des Mangels in der Praxis nicht so gut mit Rücksicht auf Schutz des Käufers als Verbraucher. Als globaler Trend des Kaufvertragsnorms sollte man auf derartige kumulative Geltung des subjektiven sowie objektiven Mangelbegriffs einen tiefgreifenden Rücksicht neh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