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고보조금의 부정수급과 사기죄에 대한 연구 - 형법상 사기죄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40조를 중심으로 - (Study on fraudulent supply and demand of state subsidies and Frau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4
21P 미리보기
국고보조금의 부정수급과 사기죄에 대한 연구 - 형법상 사기죄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40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1권 / 1호 / 419 ~ 439페이지
    · 저자명 : 박상진

    초록

    현재 100조원(국고보조금으로 58조 4천억 상당, 연구개발비와 출연금 등으로 50조 상당) 규모의 국가보조금을 풀면서도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정부의 돈을 단순히 ‘눈먼 돈’으로 생각하는 사고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보조금 비리는 보건·복지, 고용, 농수축산, 연구·개발, 문화·체육·관광 등 보조금이 지급되는 모든 분야에 걸쳐 발생하고 있다. 특히 복지 분야의 부정수급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암묵적으로 해 오던 뿌리 깊은 관행인 경우가 많았고, 사실 ‘생계형’ 불법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관대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부정수급을 통해 공공재정에 손실을 가하는 행위는 단순히 개인이 부당한 이득을 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적 제도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우리 사회의 미래 성장 동력을 잠식하는 중대한 범죄행위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실제 부정수급 근절에 성공한 국가들은 부정수급을 범죄행위로 처벌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이와 같은 부정수급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정수급은 범죄행위이며 사회악’이라는 사회적 공감대와 시민의 인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시각을 가지고 형법상 사기죄와 보조금관리법 제40조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보조금관리법 제40조의 ‘거짓 신청’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은 부정수급행위와 형법상 사기죄(제347조)를 중심으로 양 법률관계를 고찰하였다. 보조금관리법 제40조에서 언급되는 ‘거짓 신청’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의 대부분이 기망행위가 수반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사기죄의 구성요건과 보조금관리법 제40조의 구성요건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지가 문제된다. 형법상 사기죄는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인데 국가적 법익인 국가보조금의 편취행위에 대해 보조금관리법이 있음에도 형법 제327조의 사기죄를 적용할 수 있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는 양자의 보호법익과 행위태양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사기죄가 적용될 경우 양자의 죄수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Ⅱ). 나아가 사기죄가 적용될 경우 그 편취금액의 산정과 관련하여, 과다청구하여 과다교부 받은 부분에 대해서만 사기죄가 성립할 것인지 아니면 정당하게 교부를 받을 수 있는 액수를 포함한 전체 액수에 대해서도 사기죄가 성립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Ⅲ).

    영어초록

    Currently, we are not properly managing 100 trillion wons of government subsidies eand think that the government's money is simply "blind money." This is the widespread reality of our society. These kinds of subsidy-related corruptions occur in all areas where subsidies are provided, such as health and welfare, employment, agriculture and stock ra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particular, the illegal receipt in the welfare sector is nothing new, but rather a deep-rooted practice. In fact, it is true that our society has been generous to livelihood crimes. However, the act of causing losses on public finance through illegal receipt leads not only to the unjust gain of the individual, but also to the distrust in the public system itself.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is is a serious criminal act that erodes the future growth engine of our society. Countries that have succeeded in eradicating corruption form a social consensus agreeing on the necessity of punishing the illegal receipt for criminal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uch irregularity, social consensus and civil recognition that "illegal supply and demand is a criminal act and social evil" are necessary.


    This paper looks at Article 40 of the Criminal Code on Criminal Law and the Subsidy Management Act. As a result, we first saw that fraud should be applied to the illegal receipt of state subsidy even though it is related to individual legal benefits. This argued that criminal law should be actively intervened in order to uncover the will of the state to stigmatize this activity as an obviously anti-social act and to firmly engage in such antisocial behavior. In addition, the penal provisions of Article 40 of the Subsidy Management Act and the criminal offense of the criminal law are crimes different in purpose, requirements, and effects, and explained the prisoner relations of the two. Finally, regarding the amount of fraud, it is seen that the deduction is mor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benefit administration than the total amou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