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 제760조의 해석과 병존적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5. 6. 24. 선고 2014다231224 판결 - (A Review on Interpretation of Civil Code Article 760 & Cumulative Joint Tort - Supreme Court’s Decision 2014Da231224 decided June 24, 2015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03
41P 미리보기
민법 제760조의 해석과 병존적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5. 6. 24. 선고 2014다231224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1권 / 1호 / 189 ~ 229페이지
    · 저자명 : 한태일

    초록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특히 원심판단에 의하면 예금주는 사회통념상 예금사기인출 사건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금융정보를 소홀히 관리하였다는 이유로 사기범들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불법으로 예금을 인출한 행위에 대하여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책임을 부담하고, 사기범들의 무자력위험까지도 부담하여야 할 상황에 처하였었다. 이는 판례 및 다수설이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 의미에 관하여 객관적 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함으로써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을 용이하게 하여 피해자 보호를 의도하고 있지만, 이를 복잡한 현대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민법 제760조 제1항은 연대책임을 원칙으로 하며 책임의 감면을 인정하지 않는바, 동 규정이 너무 쉽게 인정될 경우에는 피해자 보호의 실익보다 가해자에게 과중한 책임을 부과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법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 의미를 주관적 관련공동성으로 이해하여 동 규정의 적용범위를 축소하는 한편, 의사의 공동성은 없지만 단일 손해를 발생시킨 수인의 가해행위에 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연대가 아닌 분할책임을 허용하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 공동불법행위의 한 유형으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과실상계도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소한 과실이 인정될 뿐인 가해자가 고의 혹은 중과실이 있는 가해자의 무자력위험까지 부담하게 되는 불합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미 개별판례들을 살펴 보건데,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라고 명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개념을 이미 사례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상판결의 상고심은 비록 예금주와 예금사기에 의한 손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부인함으로써 예금주를 구제하였다. 그러나 예금주가 사기범들에게 자신의 정보를 스스로 일부 유출하였다는 점에 비추어 상고심이 상당인과관계를 부정함은 예금주를 보호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상고심의 ‘전부 아니면 전무’식의 해결보다는 병존적 공동불법행위를 인정함으로써, 예금주에게 사기범들과 책임이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 손해의 일부에 대하여만 연대책임을 부담시키고 또한 금융기관의 과실을 고려함에 있어서도 사기범들과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책임의 비율을 낮추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예금주는 발생한 손해의 10%에서 20%범위 내에서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적정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Regarding an issue of the subject decision, according specifically to the decision made in the appeal trial, the account holder, despite being a victim of a deposit withdrawal fraud, reached a particular state of having to bear responsibilities as a joint tortfeasor for the action of illegal deposit withdrawal from a financial institute conducted by the criminals, and for the criminals’ insolvency risk due to the reason that the account holder did a careless job in managing his own financial information. Intention of the precedents and the major theory is to protect the victim by allowing a convenient establishment of a joint tort through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the term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objectivity. However, such understanding cannot be applied as is to the complicated modern society. Namely, the Clause 1 of Civil Code Article 760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joint responsibility, and it does not acknowledge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Therefore, when such regulation is acknowledged too easi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oo excessive responsibility will be imposed to the offender rather than protecting the victim with actual benefits.
    Therefore, the definition of ‘joint’ specified in the Clause 1 of Civil Coder Article 760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ollectivity relating to subjectivity in order to reduce the application range of such regulation, meanwhile acknowledging the cumulative joint tort permitting partition responsibility instead of joint responsibility depending on the case of a harmful act conducted by a convict which caused single loss without collectivity of intention as one type of joint tort. By doing so, comparative negligence becomes individually evaluable, and this reduces the irrationality of the insolvency risk of an offender responsible for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being imposed to an offender responsible for minor negligence. Moreover, as a result of examining individual precedents, in no cases the actions are specified as the cumulative joint tort, but such concept already seems to have been applied in some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supreme of the subject decision, the account holder was relieved by denying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loss due to deposit fraud. However, viewing the case from an aspect that the account holder on his own partially exposed his own information to the criminals, the denial of the proximate causal relation in the supreme seems to be a desperate measure made to protect the account holder. Therefore, rather than the ‘all or nothing’-based solution used in the appeal,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cknowledge the cumulative joint tort to apply joint responsibility to the account holder for a partial loss within the range of responsibility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criminals, and to evaluate negligence of the financial institute separately from that of the criminals to relatively decrease the rate of responsibility. As a result, in the subject decision, it seems appropriate that the account holder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the loss occurred within the range of 10%~2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