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07.12
16P 미리보기
우리나라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2권 / 6호 / 838 ~ 853페이지
    · 저자명 : 손숙미, 임화재, 박영숙, 김숙배, 정연선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20~59세의 성인 552명(남자267명, 여자 285명)을 대상으로 DFQ 125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이중 대상자를 24시간 소변을 수거한 것으로 판명된 대상자 205명(남자 110명, 여자 95명)을 최종 소변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DFQ의 개발DFQ 125의 경우 개방형 음식섭취빈도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음식군의 기타 항목에 조사된 음식중 가장 빈도가 높으면서 1인 1회 분량당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 1항목씩을 기타 항목 대신에 삽입하여 DFQ 125를완성하였다. 음식섭취빈도는 하루 3회, 2회, 1회, 1주일에5~6회, 3~4회, 1~2회, 1달에 2~3회, 1회, 안먹음 등으로조사하였으며 국물이 많이 들어가는 음식항목 30개(주로 국과 찌개, 탕, 면류)에 대해서는 ‘국물을 다 마신다’ 혹은 ‘국물을 남긴다’ 여부를 조사하였다.
    DFQ 70의 경우에는 DFQ 125에 사용되었던 125개 음식항목 중 1인1회분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 90가지, 섭취빈도가 높은 음식 상위 90가지, 개인의 나트륨 섭취량 차이에 영향을 미친 변이음식중 2가지 영역 이상에 해당하는 음식항목 70가지를 선정하여 DFQ 70을 개발하였다.
    DFQ 36의 경우 DFQ 70의 음식항목 중 1회 분량당 나트륨 함량이 상위 50% 이상 혹은 대상자들의 적어도 50% 이상이 섭취한 음식항목 혹은 변이음식항목등을 참고하여 적어도 2개 항목 이상에 해당하는 음식항목을 선정하였다. DFQ 15의 경우에는 DFQ 36항목 중 기존의 변이음식항목 외에기준을 보다 더 강화하여, 1회 분량당 나트륨 함량 상위 20% 이상 혹은 대상자의 80% 이상 섭취유무, 나트륨 섭취 기여율 상위 40% 이상 중 적어도 2개 항목이상에 해당하는 음식항목이 선정되었다.
    2. 각 DFQ의 타당성 검증DFQ 125로부터 국물을 남기는 것에 상관없이 나트륨 섭취량을 계산 했을때는 5795.0 ± 3636.3 mg, 국물을 남길경우를 감안해서 계산 했을때는 5309.5 ± 3365.7 mg으로 나타났다. DFQ 70인경우 5026.6 ± 3107.1 mg, DFQ 36의 경우 3534.0 ± 1804.6 mg, DFQ 15 의 경우2508.0 ± 1261.5 mg으로 24시간 소변분석법에 의해구한 5009.7 ± 1541.9 mg에 비해 각각 0.3%, 31.3%, 51.3% 적었다.
    DFQ 125로부터 구한 나트륨 섭취량은 24시간 소변분석법에 의해서 구한 나트륨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r = 0.3315, p < 0.001)를 보였으며 다른 DFQ로 구한 나트륨 섭취량도 DFQ 125와 비슷하거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DFQ에 의해서 구한 나트륨 섭취량과 24시간 소변분석법에 의해서 구한 나트륨 섭취량을 5분위로 나누어 구한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DFQ 125의 경우 낮은 군끼리 비교했을때는 아주 혹은 약간 일치하는 경우가 56.1%, 아주 불일치가2.4%였으며 높은 군을 중심으로 비교했을때는 아주 일치하거나 약간 일치하는 경우가 68.3%, 아주 불일치가 0%였다.
    다른 DFQ에서도 아주 일치하거나 약간 일치하는 경우가51.2~63.4%, 아주 불일치하는 정도가 2.4~4.9%로서 같거나 비슷한 군에 속할 확률이 반대군에 속할 확률에 비해 훨씬 높아 타당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FQ 125의 경우 음식항목이 다양하여 빠뜨리는 항목이 별로 없어 보다 더 실제 나트륨 섭취량에 근접하는 장점이 있으나 자칫하면 과대평가할 위험이 있으며 국물 남기는 여부를 고려 했을때는 계산된 나트륨 섭취량은 24 시간 소변분석에 의해서 구한 나트륨 섭취량에 매우 가까워지나 계산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DFQ 70의 경우 음식 가짓수도 조사에 적당할 뿐 아니라계산된 나트륨 섭취량이 24시간 소변분석법에 의해 구한 나트륨 섭취량에 가장 근접했고, 상관관계, 타당도 등에서도DFQ 125에 비해 뒤지지 않아 실태조사에서 사용하기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DFQ 36과 DFQ 15의 경우 계산된 나트륨 섭취량의 절대량이 24시간 소변분석법에 비해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상관관계와 타당도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므로영양교육에 앞서 나트륨 섭취량을 스크리닝 하거나 영양교육 전후의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를 보는데 사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arious types of a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ng the habitual sodium intake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 125 item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125) with the DFQ 70, DFQ 36 and DFQ 15. For the DFQ 125, one hundred and twenty five dish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odium content of a one serving size, consumption frequency and dish items that contributed most to the variation of sodium intake. Frequency of consumption was determined through nine categories ranging from more than 3 times a day to almost never to indicate how often the specified amount of each food item was consumed during the past 6 months.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125 was 5775.0 ± 3636.3 mg, 12.6% higher than that estimated with a 24 hr urine analysis (5009.7 ± 1541.9 mg)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m (r = 0.3315, p < 0.001). When sodium content in broth leftover was subtracted from the total intake, the actual sodium intakes was decreased to 5309.6 ± 3076.6 mg, which was 3.2% higher than that with a 24-hr urine analysis. Overall, 56% of subjects in the lowest quintile of sodium intake computed with DFQ 125 were also in the lowest of adjacent quintile while categorization into the opposite quintile were 4.9%. DFQ 70 was developed from DFQ 125 by omitting the food items not frequently consumed, selecting the dish items that showed higher sodium content per one portion size and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70 (5026.6 ± 3107.1 mg) showed only 0.2% difference from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t (r = 0.3199, p < 0.001) and higher proportion of subjects to be classified into the same or adjacent quintile.
    The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36 or DFQ 15 was also significancy correlated with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r = 0.3441, p < 0.001; r = 0.321, p < 0.001 respectively) and more. The proportion of subjects was classified into the same or adjacent quintile. However, the actual sodium intake estimated with DFQ 36 or DFQ 15 were 3534.0 ± 1804.6 mg and 2508.0 ± 1261.5 mg, respectively, 31.3% or 51.3% less than that estimated with a 24-hr urine analysis. It seems the DFQ 125 with subtraction of sodium content in broth leftover or DFQ 70 can be used quantitatively to estimate sodium intake of adults. DFQ 36 or DFQ 15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or to assess the changes of sodium intake after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6) : 838~853, 20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