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행위의 부당성 조각 항변의 유형별 분석 - 공정거래법 제1조의 해석과 적용 - (A Categorical Analysis of Article 1-based Justifications for Anticompetitive Collus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5.03
32P 미리보기
공동행위의 부당성 조각 항변의 유형별 분석 - 공정거래법 제1조의 해석과 적용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쟁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쟁법연구 / 51권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임용

    초록

    경쟁법으로서의 공정거래법은 경쟁의 촉진을 그 사명으로 하는 법이고, 그렇기에 ‘경쟁은 이롭다’라는 대전제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공정거래법은 경쟁이 효익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수반할 수 있고 다른 정책적 목표와도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경쟁은 이로우므로 촉진하겠다는 입법적 결단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거래법의 전제는 법의 실제 해석과 적용에도 중요한 함의를 가질 수 있고, 이를 보여주는 사례가 공정거래법의 목적조항을 근거로 한 경쟁제한적인 공동행위의 부당 성 조각 여부에 대한 판단이다.
    판례는 인가받지 않은 공동행위가 경쟁을 제한하더라도 공정거래법 제1조의 궁극적 목적에 포함되어 있는 국가 정책적 목표에 이바지하는 정도가 상당할 때에는 예외적 으로 행위의 부당성을 조각하고 있다. 그런데 판례가 조각 인정의 요건이나 한계에 대 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아 현재로서는 법집행기관과 수범자 모두에게 예측가 능성이 결여되어 있는 상태다. 법 제1조에 기재된 목적 간의 위계관계 문제로 접근하 고 있는 현재의 해석론 또한 그러한 불명확성을 해소하는 데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해석론에서 벗어나 경쟁은 이롭다는 법의 전제에 기초하여 경쟁 제한적인 공동행위의 부당성이 조각되어야 한다는 사업자의 항변을 유형화한 후 유형 별로 관련 사안을 분석함으로써 법 제1조의 적용에 기한 부당성 조각 사유의 인정 여 부에 대한 판단에 명확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competition law,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 is a law whose mission is to promote competition, fundamentally grounded in the premise that “competition is good.” While the MRFTA acknowledges that competition may entail not only benefits but also social costs, and may potentially conflict with other policy objectives, the legislative choice to promote competition expresses a firm normative commitment to its inherent value. This foundational premise of competition law is not a mere slogan-it can serve as a meaningful guide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law. A prime example of this is the assessment of whether collusion is unjust (undue) under the MRFTA.
    Since the Busan Dental Association case, the courts have exceptionally recognized that unauthorized collusive conduct, even if it restricts competition, may be exempt from being deemed “undue” if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national policy goals encompassed withi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RFTA as stated in Article 1. However, the case law has yet to provide concrete standards for recognizing or evaluating such exemptions, resulting in a lack of predictability for both enforcement agencies and regulated parties. Moreover, the current interpretive approach, which treats this as a question of hierarchical ordering among the various objectives listed in Article 1, does little to resolve the inherent ambiguity.
    This paper departs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by returning to the foundational premise that “competition is good.” It seeks to clarify the criteria for exempting anticompetitive concerted actions from being deemed “undue” under Article 1 by categorizing the defenses for such exemptions and critically analyzing relevant cases under each categ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쟁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