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 조식(南冥 曹植)의 경의(敬義)사상 계승양상 (The Aspect of Succession about the Idea of Nammyung Jo Sik's Gyung and Ui (敬義) in Nosa School(蘆沙學派))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04
43P 미리보기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 조식(南冥 曹植)의 경의(敬義)사상 계승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2호 / 335 ~ 377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영남과 호남사이에는 18,9세기 경 진주-하동-구례-곡성을 잇는 섬진강 유역의 인구와 경제력의 성장으로 많은 사족들이 성장하였고, 서로 간에 자주 왕래하였다. 이러한 교류 결과 영남지역에 기정진의 문인들이 다수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들은 당시까지 영남 일대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16세기 중엽의 남명 조식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선양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노사학파에서는 시비분별을 통하여 외적인 사특함을 막고, 경을 통해 시종여일 천리를 마음속에 보존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경을 통해 심을 활성화시키려는 조식의 경 사상에 깊이 경도되었던 것이다.
    이에 노사학파인 정재규, 최숙민, 김현옥 등은 허유가 지은 「신명사도명혹문(神明舍圖銘或問)」에 대해 신명사도명의 위치나 내용에 대해 검토하고 남명의 사상이 경의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정재규는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에 ‘한적불양립(漢賊不兩立: 한 나라의 역적과는 양립할 수 없다)’을 추가하자고 하여 위정척사(衛正斥邪)에 대한 강한 신념을 토로하였고, 최숙민은 신명사도의 전체적인 면에서 심의 주리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김현옥은 조식의 경의 사상이 황제-여상-주자-남명으로 도통을 계승한 것이며, 신명사도가 선천도나 태극도와 동일한 비중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사론(士論)이 쇠미해지고 구차스러워진 것은 신명사도의 국군사사직의 뜻이 강론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조식이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을 기록한 이유가 일신(一身)의 사직에 죽지 않은 자를 위하여 경계한 것이라고까지 하였다.
    이러한 조식의 사상은 노사학파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숙민은 남명의 학문자세를 본받아 뜻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심(心)을 심성정(心性情) 일리(一理)로 보는 견해를 발전시켰다. 이는 심군(心君)이 경을 통해 성정을 주재한다는 신명사도의 논리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정재규는 심은 주재하고 상정(常定)하는 것으로서 하늘로 말하면 상제이며 사람에게는 심(心)이라고 하여 조식과 같이 심의 주재를 강조하였기 때문에,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심을 주재적 측면에서 리(理)로 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조식의 경의사상과 출처의리를 높이 받들었던 노사학파에서는 허목의 덕산비보다는 송시열의 남명신도비가 남명의 기절(氣節)이나 도학을 잘 드러내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남명의 ‘한적불양립’과 ‘국군사사직’을 중시하였던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조선조말 조선조말 개화파와 일본의 침략에 반발하여 전개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에 적극 가담하였으며, 일제 치하에서도 도학과 나라의 혼을 지키자는 운동을 지리산 일대에서 강인하게 전개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Lots of family tribes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of Somjin river basin which connected Jinju - Hadong - Gurye - Gokseong during the 18th, 19th century between Youngnam and Honam, and they often exchanged with each other. Here, literary persons of Gi, jeongjin from Honam Jangseong appeared a lot in Youngnam region, and the life and idea of Nammyung Jo Sik of mid 16th century was reilluminated, besides exchange between literary persons between Youngnam and Honam.
    Jo Sik's study and fidelity was highly evaluated by Youngnam region Nosa school in late 19th century again. Since, originally in western Gyeongnam region, Nosa Gi, jeongjin's literary persons was closely related with Josik's discipline center or the descendents, and Nosa Gi, jeongjin highly evaluated academic attitude of Jo Sik based on Gyung Jeong, jaegyu, Choi, sukmin, and Kim, hyunok, etc. of Nosa school reviewed the location and content of Sinmyeongsadomyung based on Heo Yu's「Sinmyeongsadomyung hokmun(神明舍圖銘或問)」, and clearly determined that Jo Sik's idea was based on Gyung Ui. Particularly, Kim, hyunok considered that Jo Sik's Gyung Ui idea succeeded Dotong through Hwangje-Yeosang- Juja-Jo Sik, and Sinmyeongsado had the equal importance with Seoncheondo or Taegeukdo. Also, he insisted that the reason why Saron(士論) went weakened and shabby was because Gukgunsasajik of Sinmyeongsado was not preached, and the reason why Jo Sik wrote ‘Gukgunsasajik(國君死社稷, A king must die for Sajik)’ was to protect those were not dead in Ilsin Sajik.
    This way, Jo Sik's idea greatly influenced Nosa school. Choi, sookmin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dea based on Jo Sik's academic attitude, and developed that opinion that viewed the mind(心) regarding Simseongjeong(心性情) as Ilri(一理). This shows that Sinmyeongsado's logic that Simgun(心君) presided Seongjeong through Gyung consistently flowed. Also, Jeong, jaegyu emphasized that Sim was to preside and Sangjeong(常定), which is Sangje in respect of heaven, Sim(心) for human, emphasizing presiding of Sim as Jo Sik, therefore, Youngnam region Nosa school resulted in the result of determining Sim as Li in presiding aspect.
    Also, Jirisan region Nosa school highly respected Song, siyeol by evaluating Song, siyeol's Nammyungsindobi revealed Gijeol(氣節) or Dohak of Jo Sik, better than Heo Mok's Deoksanbi. Also, Youngnam region Nosa school, which highly evaluated 'Gukgunsasajik' of Jo Sik, actively participated in Wijeongcheoksa movement and righteous army movement developed her during late Joseon, also, a movement to protect Dohak and spirit of nation was developed in Jirisan region even under Japanese imp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