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A Review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and Qing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Flow of Literary Exchang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81권 / 81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이춘희

    초록

    본 논문은 김명호 교수가 지적한 ‘두 갈래論’을 따라 지금까지 줄기차게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살피며 조・청 문인교류의 대체적 흐름을 점검해 본 것이다. 먼저,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는 교류 분야를 크게 확장하면서 수평적으로 대등한 관계에서 전례 없이 활발했던 양상을 어느 정도 재현해 주었다고 본다. 양국 문인교류는 시종 학맥과 인맥에 의한 교류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김정희와 추사 계열 문인들의 교류에서는 국내에서의 학맥과 중국에서의 학맥이 축이 되어 자연스럽게 교류하면서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 흐름에 관련 연구를 통하여 당시 청 문단의 새로운 경향들을 신속히 접하고 간단없는 교류를 통하여 조선의 금석학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고 청 정통파 주류 화풍을 유입하여 한때 조선에서 유행하는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북학파 전통의 맥을 잇는 계열 문인들의 교류에서는 국내의 혈연 중심에서 출발해 중국에서 혈연 중심의 맥을 잇고자 노력하였으나 결실은 보지 못하고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文緣을 이어가며 갈래의 맥을 이어왔다고 본다. 그리고 이 흐름의 연구를 통해 우리는 북학파 문인들이 남겨준 아름다운 交友 고사는 하나의 전설로 膾炙되면서, 모든 교류 문인들에게 서로의 우정을 확인하는 매개로 되어 또 새로운 문학을 양산하면서 교류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19세기 전, 중반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한 데 비해, 19세기 후기의 문인교류 연구는 별로 진행되지 않았던 점에서 임오군란기에 조선의 땅에서 이루어졌던 한・중 문인교류 연구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교류의 장소가 중국의 연경이 아닌 조선 땅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고 19세기 후기에 연구의 ‘공백’을 지웠다는 것이다. 또 우발적이고 고립된 양상을 보이는 ‘群小支流’의 교류 연구는 그 면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지만, 본류의 대표 인물에 집중 연구를 이어왔던 문인교류 연구의 영역을 넓혀 주었고, 특히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문인교류에서 華夷, 신분과 계급을 초월한 참된 인간(우정)이 곧 교류의 본바탕이라는 점을 보여준 데서 의미가 있다. 선행 연구의 성과를 속속들이 살피지는 못했지만, 이 과정에서 어느 갈래든 모두 선대 북학파의 교류 전통을 이어가고자 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verall flow of literary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Qing by reviewing the body of research conducted so far, following Professor Kim Myung-ho’s “Two Paths Theory.” First, the research on 19th-century Joseon-Qing literary exchange has significantly expanded the scope of study, revealing the unprecedentedly active and equal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The literary exchanges were primarily shaped by academic and personal networks. In the case of exchanges involving Kim Jeong-hui and the Chusa school literati, academic networks in both Joseon and China naturally facilitated the interactions. Through these exchanges, research shows that Joseon scholars quickly adopted new trends from the Qing literary circles. This include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pigraphy(金石學) in Joseon and introducing mainstream Qing painting styles(正統派畫風), which briefly became popular in Joseon. Next, the exchanges among scholars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Buk-hak school(北學派) started from familial ties in Joseon and attempted to extend these networks into China. Although these efforts did not yield substantial results, they created new human networks that maintained literary ties(文緣) and preserved their tradition. This tradition left behind captivating anecdotes of friendship, which, according to the research, became legendary and served as a medium for confirming mutual affection among literary figures. These interactions inspired new literary creations, sustaining the tradition of literary exchange.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which primarily focused on the early and mid-19th century,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exchanges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ose that took place in Joseon during the Imo Incident(壬午軍亂). These interactions are notable for occurring on Joseon soil rather than in Beijing, filling a research gap on the late 19th century. The study also touches on the necessity of expanding research on “minor tributaries”(群小支流), which appear sporadic and isolated. While these require broader investigation, research has thus far focused on prominent figures in the mainstream, thereby broadening the scope of literary exchange studies. Such research underscores the essence of literary exchange, transcending distinctions between China(華) and non-China(夷), as well as barriers of social status and class. This highlights the human connection and true friendship as the foundation of literary exchange. While the study categorizes research for convenience and does not exhaustively review all results, it identifies a common thread across all streams of research: the efforts to continue the exchange traditions established by earlier Buk-hak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