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여행조사 원자료를 활용한 국내관광 지출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Domestic tourism expenditure using the Korea National Travel Surve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5.05
18P 미리보기
국민여행조사 원자료를 활용한 국내관광 지출 결정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수록지 정보 : 관광학연구 / 49권 / 3호 / 9 ~ 26페이지
    · 저자명 : 윤성준, 이희찬

    초록

    이 연구는 내국인의 국내관광 지출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세부 지출 항목별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여 국내관광시장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여행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다수의 ‘0’ 및절단된 값이 존재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Tobit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총 지출액, 식음료비, 교통비, 관광 활동비, 쇼핑비이며 독립변수는 4가지 범주(심리적 변수, 관광 관련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경제적 제약) 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심리적 변수 중 전반적 만족도는 총 지출액, 식음료비 및 쇼핑비에, 혼잡 만족도의 경우총 지출액, 식음료비, 관광 활동비, 쇼핑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보였고 관광 정보 및 안내시설 만족도의 경우식음료비, 관광 활동비에 정(+)의 영향을, 쇼핑비에는 부(-)의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여행 관련 특성은 일반 동반자포함 및 15세 미만 동반자 포함 시 총 지출액 및 식음료비, 교통비, 쇼핑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관광 활동비는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관광 활동비를, 남성보다는 여성이 쇼핑비에 더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총 지출액, 교통비, 관광 활동비, 쇼핑비를 더 지출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지출액, 식음료비, 교통비 지출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제약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총 지출액, 식음료비, 교통비, 관광활동비를 더 지출하며 관광지 물가 만족도는 모든지출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관광자의 거주지역을 벗어나는 관광에서 총 지출액, 식음료비, 교통비, 쇼핑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광 활동비는 거주지역 내의 관광 형태에서 더 많이 지출한다는 결과를보였다. 이 연구는 지출 항목별 세부 만족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근/원거리 관광 형태에 따른 지출액의 차이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시장참여효과와 소비량효과에 따른 차별화된 실무적, 정책적 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domestic tourism expenditure among Korean tourists and the varying influences of factors across expenditure categorie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Travel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Tobit model was employed to address the censored nature of the data, characterized by multiple zeros and truncated value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 total expenditure(TOTAL), food and beverage(FNB), transportation(TRANS), tourism activities(ACT), and shopping(SHP). In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sychological factors, trip-related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s, and economic constraints. The results reveal that overall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s TOTAL, FNB, and SHP expenditures.
    Congestion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OTAL, FNB, ACT, and SHP expenditures. Satisfaction with tourism information and facilities positively influences FNB and ACT expenditures but negatively impacts SHP. Traveling with general companions and children under 15 negatively affects TOTAL, FNB, TRANS, and SHP expenditures, while it positively influences ACT expenditures. Regar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men tend to spend more on ACT, whereas women allocate more to SHP. Younger individuals exhibit higher spending on TOTAL, TRANS, ACT, and SHP, while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have greater expenditures on TOTAL, FNB, and TRANS. Higher income leads to increased spending across all categories except SHP, and pric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all expenditure categories.
    Additionally, expenditures on TOTAL, FNB, TRANS, and SHP are higher when traveling outside the tourists' residential areas, whereas spending on ACT is greater in local travel.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by examining the impact of detailed satisfaction levels across expenditure categorie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spending patterns between short and long distance travel. Additionally, its significance lies in presenting differentiated practical and policy strategies based on market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eff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