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왕릉 부석처(浮石處)의 선정 과정과 부석처 조계동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of Quarry and the Quarry Jogyedong in Royal Tombs in the Late Joseon Period)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6
12P 미리보기
조선후기 왕릉 부석처(浮石處)의 선정 과정과 부석처 조계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6권 / 3호 / 51 ~ 62페이지
    · 저자명 : 이상명

    초록

    본 연구는 산릉도감의궤를 통해 조선후기 산릉공역에서의 석재 용도가 다른 대부석소와 소부석소의 부석처 위치와 선정 과정 및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상에 배설되는 대부석소 석재의 부석처는 매우 체계적인 품질 확인 과정을 거쳐 선정되었다. 둘째, 도성 주변의 능소의 부석처는 동쪽에는 불암산, 서쪽에는 북한산 자락에 위치하였다. 이는 운반 여건이 중요한 석재 조달의 특성상 능소와 가까운 산지를 부석처로 마련해야 했기 때문이다. 셋째, 대부석소와 소부석소 간 부석소의 위치를 달리하여 선정하였다. 대부석소의 부석처는 소부석소보다 멀게는 3배 거리에 위치하였다. 이는 대부석소와 소부석소에 소요되는 석재의 규격과 수량 및 운반 여건의 영향 때문이었다. 넷째, 대부석소의 부석처로는 조계동이 선호되었다. 본고에서는 조계동 일대 골짜기에서 구천은폭(九天銀瀑)이 새겨진 폭포 인근 암벽에 새겨진 ‘사릉부석감역필기(思陵浮石監役畢記)’를 소개하였다. 정성왕후사릉봉릉역(1699) 당시 조계동 일대에 부석을 마치고 새긴 것으로, 부석 관련 주요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산릉공역의 부석처로 실제 위치를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selection process of quarry and the quarry Jogyedong through the Salleung-uigwes in royal tombs construct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it is to comprehend about the effect by difference of use of stone between Daebuseokso and Sobuseokso.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quarry of Daebuseokso had been selected very carefully through the quality check process. Second, the quarry of royal tombs around the capital was located at Mt. Bulam in the east and Mt. Bukhan in the west.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procurement of stone, which is important for transport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mountains close to the royal tombs. Third, the locations of quarry of between Daebuseokso and Sobuseokso were differently selected. The quarry of Daebuseokso was located at a distance of three times distant from Sobuseokso. Forth, the epigraph related to quarry is located in Sareung construction in the valley of Jogyedong. This is a very important data to confirm the location of royal tombs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