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重峯 趙憲과 700 義士의 民族精神史的 意義 (The meaning of the spirit of Jo Hoen and 700 righteous me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1.06
26P 미리보기
重峯 趙憲과 700 義士의 民族精神史的 意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8호 / 307 ~ 332페이지
    · 저자명 : 김문준

    초록

    중봉(重峯) 조헌(趙憲: 1544-1592)은 율곡 이이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한국 도학의 정맥을 계승하고, 16세기 말인 임란 직전에 義理정신과 務實정신을 실천한 인물이다. 중봉의 위대함은 의병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전의 당시 현실 속에서 국가 위기에 대처하는 도학자들의 현실인식과 대처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기 때문이다. 중봉은 節義와 學問과 經世를 겸비한 眞儒였다. 그는 학문과 군자를 좋아하고 후세에 도학을 전하고자 헌신한 교육자였고, 국가와 백성을 위해 고심한 경세가였다. 중봉은 道德, 義理와 經世를 일관하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고, 修養과 濟民을 실현하기 위하여 時弊를 개혁하고 倭侵에 대비하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주장했다. 특히 중봉과 700 義士는 인간 세상의 인도주의가 유린되는 부조리한 시대를 당하여 국가를 구했으며, 국가 존망의 위기와 道의 존망을 같은 문제로 인식하고, 국가와 도의 수호를 위해 殉國, 殉道했다. 그들은 국가와 仁義의 도가 존망의 위기에 처했다는 의식을 바탕으로 국가와 인도를 수호하는 강렬한 저항정신을 발휘하여 영원한 民族精氣가 되었다. 중봉의 의리사상은 김상헌, 김집, 송시열 등 한국도학파의 선비들에 의해 적극 현창되고 계승되었다. 중봉 조헌과 700 義士의 義擧 정신은 한국 선비정신의 정맥이며,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고귀한 인간 정신을 담고 있으므로 이들의 정신은 오늘날에도 더욱 현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봉 조헌과 700 義士의 순국 정신은 인의에 기초하여 세계 평화를 추구하는 人道精神을 발휘한 것이므로, 그들의 정신은 동북아의 평화와 세계 평화의 정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Jo Hoen(趙憲; 1544-1592)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Sunbee. He was a martyr for his country and spirit of neo-Confucianism. He had succeeded to the thought of Lee Yi(李珥; 1536-1584), succeeding spirit of succession of the korean neo-Confucianism(道統). He had made constant efforts to put justice and righteousness into practice. and had insisted on a far-reaching reformation of the nation. He provided the wide view and many action plans for the political, economic, educational, and national defence reform to help people's life and prepare war to reject external aggression. When Japan's invasion(Imjin Hideyoshi Invasion: 1592-1597) occurred, he devoted his life to reject Japan's invasion at the end of 16's century. At that time, he raised the army of justice(義兵) and became a leader to reject Japanese invader. He put justice and righteousness into practice and confucian scholarship and fidelity to his homeland. He devoted himself to teaching and working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He had a understanding his era as a period which humanism was trampled, so had a awareness which was not only the crisis of the nation's fate and but also the crisis of the Tao(仁義). And He considered protecting his country and the Tao(道) as his duty. He guarded the nation and the people. His spirit had been inherited by the others who succeed to the spirit of Korean neo-Confucianist. The spirit of Sunbee and the patriotic deed of Martyr Jo Hoen and 700 righteous men would be the core of korean traditional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