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政局의 전개와 趙絅의 정치적 활동 (The 17th century Joseon politics and Jo Gyeong(趙絅)’s political actio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7.03
30P 미리보기
17세기 政局의 전개와 趙絅의 정치적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0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신병주

    초록

    조경이 활동한 시기 정치적으로 큰 격변이 많았다. 광해군의 즉위와 몰락, 1623년의 인조반정과 서인 정권의 수립, 1627년 정묘호란, 1636년의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 효종의 즉위와 북벌 정책, 현종 대의 예송논쟁 등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던 시대였다. 조경은 당파적으로는 남인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남인의 정치적 입장을 강하게 피력하기 보다는 원칙과 소신에 입각하여 자신의 정치관을 피력하였다. 특히 언관직을 수행하면서는 권력의 실세에 대한 강한 비판을 멈추지 않는 강직한 言官의 표상이었다.
    사안에 따라서는 국왕의 처사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면서 권력에 굴복하지 않는 면모를 보였다. 인조가 생부 정원군을 元宗으로 추숭하자, 이에 강하게 반대하였고, 원종 추숭의 중심인물 박지계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대후금 정책에 대해서는 강력한 斥和論을 펼쳤으며, 소현세자빈 강씨의 賜死나 소현세자 아들의 처벌에서는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소현세자의 빈인 姜嬪의 신원을 청한 김홍욱을 변호하고, 서인의 중심 송시열에 맞선 남인 윤선도의 예론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청나라의 권력을 빙자해 조선에 오만하게 굴던 정명수의 위세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조경은 당파적 입장이 강하지 않았기에, 김육, 이경석, 정경세, 윤선도 등 서인과 남인을 막론하고 당대의 명망가들과 두루 교분을 유지하였다. 조경 교유의 일차적 기준은 국익을 추구하는 능력 있는 정치인이자 학자였던 것이다. 그러나 현종대 예송논쟁으로 서인과 남인이 치열하게 대립할 때 남인 윤선도의 입장을 옹호하면서 남인 정치인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84세까지 장수하면서 역사의 고비 마다 중요한 정치적 위치에 있었던 조경은 선조 이후 현종대까지 격동의 역사를 살아가면서 원칙과 소신에 입각한 정치 행보를 보였다. 5명의 왕을 거치면서 고비마다 그 존재감을 보였던 조경 정치 활동은 17세기 급박한 정국의 흐름에 중요한 균형추의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ime when Jo Gyeong was in action was a period of political turmoils. Gwang’hae-gun was enthroned, only to be dethroned and replaced by king Injo in 1623. A Westerner party regime was established, but the Manchurian troops invaded Joseon in 1627(the Jeongmyo year) and 1636(the Byeongja year), resulting in King Injo’s kneeling to the Qing troops at Samjeon-do. Hyojong ascended to the throne, and planned a military campaign targeting the north(the Manchurian Qing dynasty). Later,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a government-wide controversy concerning the issue of ritual protocols, particularly of the wearing periods of mourning attires, broke out.
    Jo Gyeong was, judging from his relationships with others, a member of the Southerner party. But instead of expressing the Southerners’ position or charging on with their agendas, he expressed his opinions based upon his own thoughts and principles. He was also particularly strict and honest in his criticism of power and powerful figures.
    Jo Gyeong made his opposition clear against the idea of king Injo posthumously honoring his own biological father Jeong’weon-gun as an honorary king Weonjong(元宗), and criticised the people who were behind such plans. He was a strong supporter of the idea of refusing peace with the Manchurian Hu-Geum(later Qing dynasty), and was against the idea of killing crown-princess Gang or punishing the son of crown-prince So’hyeon. He defended Kim Hong-uk who requested amnesty for the crown-princess, and supported the position concerning ritual protocols suggested by Yun Seon-do, who was at the time battling the leader of the Westerner party Song Shi-yeol. He was also not threatened by a Chinese translater named Jeong Myeong-su, who was being so arrogant in his dealings with the Joseon government.
    Because he was not a hard-line Southerner, he was able to befriend and acquaint himself with many renowned people regardless of their parties, such as Kim Yuk, Yi Gyeong-seok, Jeong Gyeong-se and Yun Seon-do. His own principle in selecting friends was whether or not the individual was working for the interest of the country in the area of either politics or academism. But during the Ritual protocol controversy of king Hyeonjong’s reign, when the Westerners and Southerners fiercely fought with each other, he advocated the position of Southerner Yun Seon-do and was regarded as another Southerner politician.
    He lived to reach the age of 84, and was present in every politically important event and occasion. He maintained his principles during his long career, which began during king Seonjo’s reign and continued through the reign of king Hyeonjong. He was an integral figure of the government who contributed to achieving a certain balance inside the political arena of the 17th century, which witnessed the coming and going of total of five k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