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고시조 향유 방식의 일면 ―종합대중잡지 『삼천리』 소재 고시조 기사를 중심으로― (Enjoyment of Gosijo (古時調) in the 1930s ―Focusing on Gosijo Articles Published in Popular Magazine “Samcheonli”―)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4.09
39P 미리보기
1930년대 고시조 향유 방식의 일면 ―종합대중잡지 『삼천리』 소재 고시조 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61호 / 75 ~ 113페이지
    · 저자명 : 이고은

    초록

    본고는 20세기 초 종합대중잡지 『삼천리』에 실린 고시조 기사를 개관하고 1930년대 잡지 『삼천리』 속 고시조의 역할과 그 의미를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삼천리』에 수록된 고시조는 1920년대 대중교양 증진을 목적으로 출간된 『추강연월』과 1928년 평양기성권번의 교과서로 활용되었던 『가곡보감』과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추강연월』과의 연계성은 고시조의 문학 지향에서 두드러지고, 『가곡보감』과의 연계성은 고시조의 가창 지향에서 볼 수 있었다.
    『삼천리』에서는 고시조의 당대성과 역사성을 적절하게 사용했다. 이를 가름하는 기준은 고시조의 작가명으로, 작가명이 기재되어 있는 고시조는 역사성을 배경으로 문학으로서 소용되면서 독자들이 작품뿐만 아니라 고시조 작가의 배경까지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 이는 기사 내용을 압축제시하는 데에 효과적이었으며 교양대중을 포섭하기에 유용했다. 작가명이 기재되지 않은 고시조는 당대에 가창되고 있던 당대성을 내포하며, 유희적 공간에서 청각적 심상을 통해 향유한 時調唱詞를 상기시키는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중의 유희적 측면을 만족시켰다 할 수 있다.
    고시조는 여러 선집을 거치며 1930년대에 정전화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 『삼천리』 독자들은 이러한 정전화를 거쳐 익숙해진 고시조를 통해 작품에 담긴 작가의 일대기와 문예미뿐만 아니라 상징까지도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고시조의 가창적 특성도 함께 이해할 수 있었다. 1930년대에 고시조는 시조의 양가적 속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근대매체 속에서 생명력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articles pertaining to Gosijo (古時調) published in the early 20th-century general-interest magazine Samcheolli (三千里) are reviewed; additionally,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Gosijo as represented in Samcheolli during the 1930s are examined.
    Gosijo, as featured in Samcheolli, is influenced by Chugangyeonwol, a publication from the 1920s that aim to promote public education, and Gagokbogam, a textbook used by Pyeongyang Giseongwonbeon. The connection with Chugangyeonwol is evident in the literary orientation of classical sijo, whereas the connection with Gagokbogam is reflected in its focus on the performative aspects of sijo singing.
    Samcheolli effectively utilizes Gosijo’s contemporaneity and historici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aspects is evident in the inclusion of the author's name. When the author's name is provided, sijo is regarded as a literary work that can aid readers in understanding not only the work but also the background of its creator. This approach effectively summarizes the content and is beneficial for engaging cultured audiences. By contrast, Gosijo without the author's name is more performative and evokes the auditory imagery of sijo singing in the period, thus satisfying the public’s recreational aspects.
    Based on several anthologies, classical sijo was canonized by the 1930s. Readers of Samcheolli during this time who were familiar with these canonized works could appreciate not only the authors' life stories and literary beauty but also the symbolism embedded within the works. Additionally,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erformative nature of sijo. In the 1930s, Gosijo actively employed its dual attributes to sustain its vitality in modern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