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가극(正歌劇) <영원한 사랑, 이생규장전>(2011)의 원작 변개 양상과 콘텐츠의 가치 (Aspects of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Work of Jeonggageuk Eternal Love, Leesaenggyujangjeon(2011)and Values of Content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2.05
42P 미리보기
정가극(正歌劇) &lt;영원한 사랑, 이생규장전&gt;(2011)의 원작 변개 양상과 콘텐츠의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3호 / 247 ~ 288페이지
    · 저자명 : 장예준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정가극 <영원한 사랑, 이생규장전>(2011)의 콘텐츠로서 희소성에 주목하면서 원작 「이생규장전」의 변개 양상 및 성격 변화, 콘텐츠의 성과와 과제 등을 살폈다.
    <영원한 사랑, 이생규장전>은 원작의 큰 틀을 그대로 가져오면서도 세부적인 내용을 상당히 변개함으로써 원작과는 전혀 다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먼저 등장인물로 작자 김시습이 등장하여 작품 도입부를 이끌고, 작품 중반부와 후반부를 연계하였다. 그리고 이생과 최씨의 사랑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무릉도원의 상징으로서 설정하였다. 이생과 최씨의 만남은 애정 전기소설에서 흔히 보이는 내밀함이 사라지고, 좀 더 경쾌하고 개방적인 성격을 지녔다. 원작에서 최씨의 절의 의식을 드러내는 수단이었던 상사병은 혼인 허락을 받으려는 최씨의 임기응변 수단으로 변모하였으며, 두 집안의 혼인 논의 역시 집안 간 자존심 대결로 좀 더 속화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홍건적의 난은 세계의 횡포로서의 상징보다는 뜻밖의 큰 사건으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최씨의 죽음 역시 이생과 최씨의 애처로운 이별로서 부각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마지막 이생과 최씨의 재회 및 이별 부분도 최씨의 절의 의식을 드러내거나 이생의 현세의 삶에 대한 전망 상실 등의 무거운 의미 대신 애틋하면서도 담담한 부부의 정과 이별을 드러내는 쪽으로 변모하였다. 이렇게 <영원>은 조선 시대 애정 전기소설의 미의식에서 탈피하여 경쾌하고 애틋한 사랑 이야기로 탈바꿈하였고, 이를 노래, 무용, 대사, 영상이 어우러진 생동감 넘치고 역동적인 종합예술 무대로 완성해 내었다. 다만 정가와 서사․소설 작품의 조화라는 장르 접합 문제는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정가와 서사․소설 작품을 적절히 접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창출하려는 고민과 시도가 계속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scarcity of the Jeonggageuk Eternal Love, Leesaenggyujangjeon(2011) as a content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work of Leesaenggyujangjeon, changes in its characters, and the performance and mission of the content.
    Eternal Love, Leesaenggyujangjeon brought the big frame of the original work as it was; however, considerably modified the details so that it came to have character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ork. The first character is that the author Kim Si-seup appeared to lead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work and connected the middle part and latter part of the work. In addition, the space where the love between Lee Saeng and Ms. Choi worked out was set as a symbol of paradise. In the scene where Lee Saeng and Ms. Choi met, the privacy often seen in Romantic Jeon-gi Novels disappeared, and it had a more upbeat and open character. Lovesickness, which was a means to show Ms. Choi’s consciousness of fidelity in the original work, was changed into Ms. Choi’s means to adapt herself to altering conditions to ask her parents for permission, and the discussion on the marriage between the two families also showed a more secularized aspect as the confrontation of pride between the families. Honggeonjeok’s rebellion came to have a character as an unexpected big event rather than as a symbol of the tyranny of the world, and accordingly, Ms. Choi’s death also showed the aspect of standing out as a pitiable farewell between Lee Saeng and Ms. Choi. Lastly, the scenes of the reunion and parting of Lee Saeng and Ms. Choi also transformed into the direction to reveal the love and separation of the dear and calm couple, instead of heavy meaning like Ms. Choi’s consciousness of fidelity or Lee Saeng’s loss of the prospect for a life in the present. Like this, as Eternal Love, Leesaenggyujangjeon was transformed into a cheerful love story that shared the traditional/modern color, it has significance as a classical content that reinterpreted a classical literary work in a modern way and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ompleted a lively and dynamic comprehensive art stage where singing, dancing, lines, and images were mixed. And yet, it left the task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e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maintaining the atmosphere of Jeongga in Jeonggageuk and the issue of harmonizing Jeongga with a narrative and novel.
    Eternal Love, Leesaenggyujangjeon has great values in that it established a genre of Jeonggageuk that combined Jeongga with geuk, it is the only case that embodied a classical narrative and classical novel as Jeonggageuk, and it reinterpreted a classical novel excellently from a modern perspective while not pulling down the basic perspective beneath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