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 御定‧命撰書의 간행과 국가적 역량의 효과적 활용 (The Publication of Books Compiled by King Jeongjo and the Effective Use of National Capabilit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1.04
38P 미리보기
正祖 御定‧命撰書의 간행과 국가적 역량의 효과적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5호 / 96 ~ 133페이지
    · 저자명 : 권기석

    초록

    정조는 재위 기간 중 방대한 편찬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저술과 교정, 그리고 頒賜까지 작업의 전 과정을 직접 관여하며 전국적 규모의 간행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群書標記』에 수록된 御定·命撰書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간행 방식 선택의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광범위한 활용성과 장기 전승의 목적성이 큰 분야일수록 刊本의 비중이 컸고, 그러한 분야로 법제·사법, 의례, 문학, 문집·유사·실기, 병학·무예 등이 있었다. 보급의 수요가 커질수록, 활자보다는 목판을 선택하였고, 수요가 매우 큰 경우 양자를 병행하기도 하였다.
    어정명찬서의 독자층을 분석해 본 결과, 왕실, 관원, 民人을 대상으로 한 경우 간본의 비중이 높았고, 일부 실무 관료에게 집중적으로 보급할 전문서도 다수 간본으로 나온 것이 확인된다. 지방의 민인에게까지 광범위하게 보급하고자 한 서적은 활자본과 번각 목판본이 병행되었다.
    어정명찬서는 중앙정부에서 저술되었으나, 간행처를 분석해 보면 인출과 보급은 중앙과 지방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의 간행 분담은 기본적으로 널리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중앙의 수요를 분담하거나 해당 지역에 板木을 배치하여 오래 보존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일부 전문서적이나 병서를 관련 관청이나 군영에서 인출을 담당하도록 하여, 간행처와 활용처를 일치시키고 효과적 서적 보급을 기대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During his reign, King Jeongjo led a massive compilation project, taking care of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proofreading, and distribution of the published works. Among them, not only central government offices such as Gyujanggak (奎章閣) and Gyoseogwan (校書館), but also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including Gamyeong (監營) were responsible for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their nationwide distribution. In this paper, I categorized by subject Eojeongseo (御定書) and Myeongchanseo (命撰書), the works compiled by Jeongjo, recorded in Gunseo Pyogi (群書標記) and then investigated into various publication methods used by them. As a result, even within the same subject classification, different publication methods wer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books. The wider the use of books and the greater the need for long-term transmission,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choose printing rather than transcribing. The major areas of publication were legislation, justice, ceremonies, literature, literary collection, biographies, and military science. As the demand for book distribution grew, woodblock was preferred than movable type as a means of printing, and when demand for book publication was very high, both moveable type and woodblock were used.
    As for the readership of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royal families,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mon people. The printed version was produced mainly for the royal family,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Meanwhile, there are many printed copies of books targeted for private Confucian scholars, not limited to bureaucrats, so we can confirm that King Jeongjo's intention of publication was to train people of letters. A number of specialized books were also printed, which were mainly for working-level officials. Books to be widely distributed to local people were often first published in moveable type and then reprinted using woodblock.
    Since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were compiled by the king, the central government was in charge of writing and editing these works. However, investigation into the place of publication found that the publishing process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division of printing to local government offices was basically aimed at making books widely available to the mass, but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rve woodblocks for a long time in each province. Meanwhile, some technical books were produced and printed by related government offices. This practice was intended to effectively match supply with demand for such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