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가방식 변화에 따른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경험 분석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Qualification Training for the Elementary 1st grade Teach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valuation Method)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05
17P 미리보기
평가방식 변화에 따른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경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9호 / 267 ~ 283페이지
    · 저자명 : 박정우, 박수정

    초록

    목적 1정 연수 평가방식의 전환(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에 따른 연수강사와 연수생들의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평가방식 변화에 대한 인식과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19년과 2020년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연수강사 4명, 연수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주로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인식, 연수원 분위기와 1정 연수에 바라는 점 등이다.
    결과 평가방식 전환 이전의 교육과정은 ‘성장의 원동력’, 평가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 연수 분위기는 ‘소리 없는 전쟁터’, 1정 연수에바라는 점은 ‘평가 변화에 대한 소망’, 평가방식 전환 이후의 교육과정은 ‘변화의 바람’, 평가는 ‘겪어야 하는 성장통’, 연수 분위기는‘고요함과 적막함’, 1정 연수에 바라는 점은 ‘더 좋은 연수에 대한 희망’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첫째, 과거의 1정 연수 평가방식은 승진과 연계된 줄세우기 성격이 강하여 자격연수의 취지에 적합하지 못했다. 둘째, 평가방식의 변화는 불필요한 경쟁을 막고, 협력 문화를 조성하는데 변화를 가져왔으나 연수에 대한 참여도는 앞으로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셋째, 교육과정은 지적 자극이 되는 점도 있으나 학교 현장 및 교직 생애단계와의 괴리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qualification training instructors and trainees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training evaluation method(from norm-oriented assessment to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to awareness of changes in the evaluation method and tasks to be solved.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four qualification training instructors and five qualification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qualification training for the elementary 1st grade teacher in 2019 and 2020.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are mainly the recognition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atmosphere of the training institute, and the desire for the qualification training.
    Results Before the evaluation method was changed curriculum is ‘the driving force of growth’, evaluation is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atmosphere of the training institute is ‘the battlefield without sound’, the desire for the qualification training is ‘the desire for evaluation change’, After the evaluation method was changed curriculum is ‘the desire for change’, evaluation is ‘the growth pain to go through’, the atmosphere of the training institute is ‘the quietness and silence’ and the desire for the qualification training is ‘hope for better training’ is derived.
    Conclusions First,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qualification training in the past was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qualification training because it had a strong tendency to line up in connection with the promotion. Second, changes in evaluation methods have led to changes in prevent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creating a culture of cooperation, but participation in qualification training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ird, although the curriculum is also intellectual stimulating, the gap between the school and the life cycle was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