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岡 鄭逑 『心經發揮』의 경학사상적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e Idea of Confucian Classics involved in Han Gang Jeong Gu's Elucidation of Sacred Scripture of Mind[心經發揮])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3.12
49P 미리보기
寒岡 鄭逑 『心經發揮』의 경학사상적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3호 / 169 ~ 217페이지
    · 저자명 : 엄연석

    초록

    본 논문은 조선중기 『심경』연구에 있어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강 정구의 『심경발휘』가 그의 경학사상 전체 체계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그 구성 형식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정구가 『심경발휘』를 편찬할 때는 정민정의 『심경부주』 체계에 대한 불만과 함께 이를 넘어서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정구가 유의했던 사항은 다음과 같이 서로 연관되는 몇 가지 주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심경부주』에서 정민정이 주희의 만년 정론(定論)이라고 하여 강조한 존덕성 중심의 공부가 마음의 함양에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도문학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둘째,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는 유가적 도덕실천과 함양을 위하여 상호간 번갈아 전제가 되어 어느 한쪽도 없애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양면 공부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태극과 천리를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우주론으로부터 도문학의 근거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반면 정구의 예학은 첫째, 성리학적 형이상학을 받아들여 ‘예(禮)’의 보편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인사의 도덕적 실천을 위한 행동규범의 표준과 실천적 지식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도문학의 내용과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도문학 공부의 내용을 이루면서도 천리(天理) 뿐만 아니라 성경(誠敬)과 의(義)에 근거를 둠으로써 존덕성의 본령공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요컨대, 정구의 예학은 도문학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본령공부로서 경을 강조한 『심경발휘』에 근거하여 도문학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예론을 전개하고 있다. 『심경발휘』는 그의 예학의 구체성에 의지하여 존덕성과 도문학의 균형을 유지하는 객관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정구의 경학 체계에서 『심경발휘』의 심학과 『오선생예설분류』로 대표되는 예학은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를 통일시키는 두 가지 핵심 이론으로서 불가분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규정된다. 결론적으로, 정구의 『심경발휘』는 성리학의 우주론적 도덕형이상학과 도덕적 행동의 실천적 표준을 구성하는 예학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 역할을 하는 저술로서 경(敬)과 치지(致知)를 중심으로 하는 도문학과 존덕성을 포괄하여 마음을 함양하는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는 이론적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tended to illuminate which meaning Han Gang Jeong Gu's XinJingFaHui[心經發揮The Elucidation of Sacred Scripture of Mind] has in the total system about his idea of Confucian Classics by analysing its format of organizing and content characteristics. When Jeong Gu would have compiled XinJingFaHui, he had adhered the purpose tried to transgress this book with dissatisfaction of Jeong Min-jung's XinJingFuZhu[心經附註The Annexed Annotation of Sacred Scripture of Mind] system. What Jeong Gu pays attention to can be summed up several subjects be connected with one another as follows. First, He desired to clarify that a study of enhance of virtue[尊德性], which Jeong Min-jung regarded as the reasonable argument of Zhu Hee's later years, is not absolute in the cultivation of mind and should keep a balance with investigation of knowledge[道問學]. The second, he intended to derived a foundation of investigation of knowledge from the metaphysical cosmology of Neo-Confucianism turned on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natural principle[天理]. In sequence, his study of propriety basically displays contents and process of investigation of knowledge by manipulating basically the criterion of conduct code and a matter of practical knowledge for moral practice of personnel affairs. Summing up, Jeong Gu's study of propriety presented primarily argument of propriety as concrete contents of investigation of knowledge on the basis of XinJingFaHui, through which he accentuated on one hand maintenance of equilibrium with investigation of knowledge, on the other hand reverence of enhance of virtue as a study of one’s characteristic. Whereas, XinJingFaHui attempts to secure objective legitimacy for maintenance of equilibrium between enhance of virtue and investigation of knowledge by depending on the concreteness of his study of propriety. From the point of view of Han Gang Jeong Gu's system of Confucian Classics, the study of mind of XinJingFaHui and thought of propriety study represented by WuXianShengLiShuoFenLei[五先生禮說分類The classification of propriety theory by five teachers] can be defined as two core theories which unify the study of enhance of virtue and investigation of knowledge and have an indivisible organic correlation. In the final analysis, Jeong Gu's Elucidation of Sacred Scripture of Mind plays a role as a bridge between cosmological moral metaphysics of Neo-Confucianism and study of propriety, which is composed of practical standards for moral action. This work embodies theory of system through which he explains a found and process of cultivation of mind by encompassing enhance of virtue and investigation of knowledge according to reverence and expansion of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