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야중관경론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a.a in Prajnaparamita and Madhyamaka Literatur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3.08
37P 미리보기
반야중관경론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5호 / 261 ~ 297페이지
    · 저자명 : 남수영

    초록

    논자는 본고에서 『금강경』이 불교의 궁극 목적인 열반 대신에 무상정등각을성취하고자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의 삶을 주제로 삼은 이유, 용수가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유, 그리고 반야중관경론에서설하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반야중관경론을중심으로 그 세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수가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유는다음과 같다. 즉 용수의 『근본중송』에 의하면 일체법은 연기이며, 연기인 일체법은무자성, 공, 가명, 중도이다. 그런데 일체법에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이 포함되며,중도란 비유비무(非有非無), 즉 존재도 아니고 비존재도 아니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은 그 존재성이 부정된다. 다시 말하면무상정등각은 불타에 의존해서 성립하는 연기적인 사물이기 때문에 그 존재성이부정되며, 열반은 중도의 진실 그 자체이기 때문에 그 존재성이 부정되는 것이다.
    『금강경』이 불교의 궁극 목적인 열반 대신에 무상정등각을 성취하고자 보리심을일으킨 보살의 삶을 주제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대지도론』에 따르면삼삼매(三三昧)는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행법이고, 수행자는 삼삼매를통하여 열반을 성취할 수 있지만, 그는 삼삼매 속에서 열반을 성취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지도론』에서 언급하는 수행자란 무상정등각을 성취한 후 스스로불타가 되어 일체의 중생을 열반으로 인도하겠다고 보리심을 일으킨 대승의 보살(菩薩)이고, 그는 아직 무상정등각을 성취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금강경』은초기 대승경전으로서 『대지도론』과 마찬가지로 보살사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열반을 성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성취를 보류하고, 무상정등각을성취하여 일체의 중생을 열반으로 인도하고자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의 삶을주제로 삼았던 것이다.
    반야중관경론에서 설하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즉 『대지도론』과 『대품반야경』 등에 의하면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바탕으로 하는 6바라밀의 실천을 통해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을 성취하게 된다. 그러나 보살은무상정등각과 열반이라는 법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들에대해서도 집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무상정등각과 열반을 성취하였음에도불구하고 일체제법의 실상인 필경공(畢竟空)에 따라 그것들도 공이라고 관하여,일체법에 대한 희론과 분별, 갈애와 집착이 모두 소멸된 상태, 그것이 곧반야중관경론에서 설하는 진정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인 것이다

    영어초록

    Present writer examined the three problems in this article as follows. 1) Why Vajracchedik.-prajn.p.ramit.-s.tra(『金剛經』) choosed the life of bodhisattva(菩薩)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a, the final goal of Buddhism? 2) Why N.g.rjuna denied the existence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 a, the basis of three jewels in Buddhism, in his M.lamadhyamaka-k.rik.(『根本 中頌』)? 3) How Prajn.p.ramit. and Madhyamaka literature explain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a. And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y are as follows.
    The reason why N.g.rjuna denied the existence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a in M.lamadhyamaka-k.rik. is as follows. All dharmas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 and all dependent originated dharmas are no self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assumed name(假名), and middle way(中 道) in M.lamadhyamaka-k.rik.. But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a are included in all dharma, and the meaning of middle way is non being and non not-being(非有非無). So the existence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a cannot help denying in M.lamadhyamaka-k.rik..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perfect enlightenment is denied because it is established dependent on Buddha, and the existence of nirv..a is denied because it is the very truth of middle way.
    The reason why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choosed the life of bodhisattva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āṇa, the final goal of Buddhism, is as follows. According to Mahaprajñāpāramitā-śāstra(『大智度論』), the three samadhies(三三昧) are the best way to achieve nirvāṇa, and the disciplinant can achieve nirvāṇa by the three samadhies. But he does not achieves nirvāṇa in the three samadhies because he is bodhisattva, who made aspiration for perfect enlightenment to lead all living beings to nirvāṇa after becoming Buddha as himself, and he does not yet attains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Buddha. The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is early mahāyāna sūtra, and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is the bodhisattva thought equally to Mahaprajñāpāramitā-śāstra, therefore it chooses the life of bodhisattva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āṇa.
    In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the ac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is explained as follows. The bodhisattva can acchieve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by practicing of six pāramitā(六波羅蜜) basing on prajñāpāramitā(般若波羅蜜)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and Larger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大品般若經』). But the bodhisattva does not think of that the dharmas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re existent, so he does not cling to that two dharmas too. Like this, even though the bodhisattva attained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by practicing of six pāramitā, he observes the dharmas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s śūnyatā according to the absolute śūnyatā(畢竟空), the true picture of all dharma. In this way, the state of mind, in which all defilements like as amplification(戱論), discrimination(分別), craving(渴愛), and attachment(執着) are completely extincted by such observation, is the very perfect enlightnment and nirvāṇa,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pre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