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郊隱 鄭以吾의 학문과 사상 (Gyoeun Jung Yi-o’s Scholarly Attainments and Though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9.09
34P 미리보기
郊隱 鄭以吾의 학문과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물사연구 / 12호 / 3 ~ 36페이지
    · 저자명 : 유권종

    초록

    郊隱 鄭以吾는 조선초기 유학자이며 주로 관인으로서 일생을 보낸 인물이다. 논문은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면 모두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장에서는 그의 交遊와 立志에 관해서, 둘째 장에서는 유교적 이념과 그 체계, 셋째 장에서는 그의 주요 저술인 『葬日通要』와 그것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美風良俗의 구현에 관한 내용으로 나누어 논술하였다.
    첫째 장의 논지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창업된 조선왕조의 역할이 고려말의 혼란과 불안을 불식시키고 시급하게 사회의 질서와 평안을 가져오는 것이고, 당시의 지식인으로서 이러한 새 왕조의 업무에 동참하는 것을 시대적 당위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그는 이러한 입장에서 관직에 임하면서 왕도정치에 입각한 백성의 교화와 질서의 회복, 및 국가 경제의 재건 등에 관하여 깊은 관심을 표방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교육의 보급과 王化의 성취를 꾀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특히 그는 범중엄과 같은 송대 사대부의 憂民 憂國과 공직에 헌신하려는 태도를 자신의 태도로 삼으면서 실제로 공직에서 그의 평생을 보냈다. 이는 당대의 지식인들이 고려조에 대한 충절을 이유로 은거했던 경우도 있었던 것과 비교해보면, 현실의 시무와 백성의 구제 및 교화에 충실함으로써 신왕조국가의 정초를 다지는 데에 그가 매우 중요한 공헌을 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장의 그의 유교적 이념과 그 체계에 대해서는 첫째 天理 혹은 天道에 입각한 일원적인 세계관의 지향, 둘째 心學的 경향, 셋째 明體達用 내지는 先本後末의 방법론, 넷째 사회에는 일정하고도 통일된 법도를 세워서 그것으로써 전체 구성원의 마음과 행동을 통일해야 한다는 신념 등으로 정리하여 살폈다.
    셋째 장에서는 『葬日通要』와 「京畿歸厚署記」를 중심으로 유교적 상례의 보급을 통한 미풍양속의 추구의 내용을 살폈다. 이글을 통해서 그의 학문적 입장이 왕의 교화가 덕에 의한 교화와 동시에 엄정한 제도와 규범의 준수를 통해서 공동의 질서와 양속을 형성하는 것을 중시하는 입장이었음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Gyoeun Jung Yi-o was a Confucian scholar and government official who lived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paper is a presentation of his life and Confucianism on the reference to newly edited and translated collection of his works, and consisted of three chapters except introductory remarks and concluding remarks.
    Main idea of the first chapter is focused what should have been his justification for his official life in the new Chosun dynasty even though his former official life in the last Koryo Dynasty. It is reasoned as follow: it was a demand of his times to make a recovery of order and well-being from the disorder and insecurity in the ending period of Koryo Dynasty. He, as a government official, was deeply interested in enlightenment of the people, recovery of ruling power and cultural system, and re-erection of state economy, and counted the spread of education and the accomplishment of King’s enlightenment of his people as the most important things. Specially he regarded the devotional attitude of an illustrious official caused from worry about state and people as the way that he should be. It is sure that h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aying the foundations for new Chosun Dynasty state with such an attitude.
    In the second, four items are discussed under the title of his Confucian ideology and the system of his thinking. Collection of his works shows he had observed and explained all the things on a viewpoint of monism of Confucian Principle, and also had self-directedness to the Confucian mind-learning with the methodology of clarifying the reality and mastering of its process or the methodology of preferentially doing the foundation of a thing to the minor details. From such his ideas we can also understand that he had a firm faith that the Chosun Dynasty had to make a unified rule and culture, and to unify the people’s minds and behaviors.
    In the third, his main two articles about the public morals are analyzed. One is an official report to the King for the correction and reformation of setting of funeral period, named as Jang-il-tong-yo and the other is record of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funeral serv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물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