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원주의사회에서 타자인정윤리 (The Ethics of Recognition for an Another in Plural Socie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7.04
34P 미리보기
다원주의사회에서 타자인정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9호 / 328 ~ 361페이지
    · 저자명 : 심현주

    초록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차이’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모던사회에서 ‘차이’는 곧바로 사회 구성원의 권리를 분배하는 데 있어서 ‘차별’로 이어졌다. 이런 현상은 다민족사회 안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단일민족이나 단일혈통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한국사회 안에서도 분배는 차별적이었고, 차별은 ‘차이’ 내지는 ‘다름’에 근거하고 있었다. ‘다름’의 기준은 언제나 ‘다수자’의 가치관에 입각한 견해였고, 이들의 가치관은 늘 사회를 통합하는 주도적인 도덕적 가치였다. 이 사회 통합의 가치들은 ‘우리’와 다른 사람들을 ‘타자’로 만들었고, 그들은 다수자에 억눌린 소수자로서 인간의 평등한 권리를 분배받지 못했다. 오늘날 이른바 포스트모던의 경향은 모던의 획일적 사고방식을 거부하고 ‘차이’를 극대화시킨다. 개인과 소집단들은 더 이상 사회의 객관적이고 주도적인 가치에 자신을 맞추고자 노력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들은 자신들의 특수한 정체성과 가치를 주장한다. 이런 사회의 다원화 현상은 사회의 단합을 위협하고 더 나아가 국가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다수자에 의해 소외당하고 주변화되었던 소수자들의 관심은 주목을 받게 되었고, 그들의 인정 요구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다원주의사회는 이제 ‘우리 안의 타자’의 관심과 욕구들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논문은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분화를 사회의 통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사회 통합의 메커니즘이 다원적 민주사회로 나아가는 길을 막고 있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타자’들이 만들어지는 사회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타자’를 인정하는 방식에 대한 담론을 성찰해 보고자 한다. 이는 다원적 민주사회를 만들어 가는 철학과 사회윤리의 과제라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 interest in the ‘difference’ is gradually growing by pluralization of society. In modern society was the ‘difference’ direct connected with the ‘discrimination’ by distribution of civil rights and duties. This situation was not limited in multiracial nations. In korean society in which man take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or a homogeneous blood for granted, the distribution is discriminative, and the ‘discrimination’ is based upon ‘difference’ or ‘dissimilarity’. The criterion of the ‘dissimilarity’ is always the value that is founded on the views of the majority, and their values are all the time a leading moral value for social integration. This value for social integration makes the peoples who are different from ‘we’ to an ‘Another’, and they as the ‘minority’ can’t have a share of equal rights and duties.
    Today so called the trend of postmodernism denies an uniform line of thinking and further maximize ‘difference’. The individual person and the small groups don’t make an effort any more to adjust oneself to the social objective value. Instead they insist on their special identity and value. This phenomenon of the social pluralization seems like a threat to social integration and further to power of stats. In the face of this reality man takes notice of the interest of the minority who are alienated and marginalized by the majority, and their claim for recognition has became th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and system. In plural society can’t be the interest and needs of “an Another in We” any more disregarded. In this paper the knowledge is premised that the identity- speciation of social members is not a element for a hindrance the social integration, on the contrary the mechanism of social integration obstruct the way to the plural democracy. Accordingly, in this paper I seek to analyze the social mechanism, which makes an ‘Another’, and to reflect on a discourse on the method for recognition of an Another. I think that this study should be a task of the philosophy and the social ethic for forming a plural democratic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