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慶雲의 전쟁 체험과 일본 인식 (The War Experience of Jeong Gyeong Wun and his Perception of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3.06
27P 미리보기
鄭慶雲의 전쟁 체험과 일본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8호 / 117 ~ 143페이지
    · 저자명 : 방기철

    초록

    鄭慶雲은 曹植의 수제자인 鄭仁弘으로부터 학문을 배운 만큼 南冥學派의 일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활동을 한 인물 상당수가 조식의 제자였던 것처럼, 그 역시 의병봉기를 통해 국난극복에 힘을 보태려 하였다. 그는 의병 활동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인지 관군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을 나타냈다. 반면 자신이 명군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명의 도움을 조선이 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하였다. 이런 모습은 그가 모든 면에서 명이 조선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정경운은 명이 일본과 강화를 통해 전쟁을 마치려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만약 강화가 이루어진다면 명 뿐 아니라 조선도 외교주체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일강화를 통한 종전을 반대했던 만큼 일본과의 국교재개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이처럼 일본과의 대화를 부정했던 것은 華夷論에 입각하여 일본을 夷狄視하였던 조식의 일본관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경운은 전쟁 중 피난생활을 했으며, 가족 중 상당수가 전쟁 중 목숨을 잃었다. 때문인지 일본에 대해서는 강한 적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본의 군사제도와 토지제도의 우수함, 일본인의 장점 등을 인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일본의 침략이 조선인에게 일본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지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정경운이 일본관이 변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일본의 긍정적인 면을 일부 인정했지만 일본을 낮게 평가한 전통적 일본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영어초록

    Jeong Gyeong Wun was a member of the Nammyeong school, as a student of Jeong In Hong who was the best pupil of Jo Shik.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y figures of righteous armies were Jo Shik‘s disciples. He also tried to force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patriotic uprising. His experience of righteous army seems to give him a negative view of the official army. On the contrary, despite of a lot of damage from the army of Ming, he thought Ming's support indispensable. It demonstrates that he had thought Ming was superior to Chosun in all aspects.
    Jeong Gyeong Wun opposed actively to finish the war by a peace treaty with Japan. In that cas, he asserted that Chosun would take the lead of peace as well as Ming. As an opponent of the peaceful end of war, he also opposed energetically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hip. In my understanding, his negative opinion about the conversation with Japan, in a certain degree, came from Chosun's general perception of Japan founded on 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Jeong Gyeong Wun had a experience of flee during the war, and lost most of his family. Maybe his personal tragedy gave him a strong hostility toward Japan. Nonetheless, he admitted the superiority of Japanese military and land system over time.
    This shows that the Japanese invasion provided Chosun's people the opportunity to get interested in Japan. But His view of Japan was not changed. He recognized some positive side of Japan. But it did not mean that He threw out the traditional consideration of Japansese as an inferior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