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Views of Jeong Mong-Juand Yu Mong-In on Chin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7권 / 211 ~ 244페이지
    · 저자명 : 손지봉

    초록

    이 논문은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를 통해 중국인식의 차이를 밝히려는 논문이다. 정몽주는 6차례나 중국을 방문한 중국 전문가이다. 정몽주의 시대는 국내적으로는 고려와 조선이 교체되던 시기이며, 중국은 원명교체기였으므로 외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당시 정몽주는 저물어 가는 고려의 사신으로 새로 일어서는 명과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유몽인이 살았던 시기 역시 중국은 명청교체기였으며, 조선은 임진왜란이라는 초유의 전쟁을 겪은 시기였다. 그러나 유몽인은 문인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했으며, 개성이 강한 인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유몽인의 중국에 대한 경험은 사행 뿐만 아니라 조선에 입경한 중국인과의 교류도 이루어졌으며, 문집뿐만 아니라 야담이라는 문헌설화를 통해서도 중국 및 중국인에 대한 체험을 기술한 점 등이 정몽주와는 다른 점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을 체험할 때 인물과 풍속의 차이에 주목하기 마련인데,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중국의 경우 한자문명권이면서 문명중심국이었기에 문장요소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풍속’과 ‘문물’, ‘인물’은 물론 ‘문장’ 등에 대한 정몽주와 유몽인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정몽주는 외교관의 입장에서 중국의 인물에 대해서는 ‘비판’을, 중국 수도의 번화함에 대해서는 ‘부러움’을, 중국과 같은 문자를 쓰는 점에 대해서는 ‘동질감’을, 중국의 이국적 풍물에 대해서는 ‘관조(觀照)’의 입장을 취했다면, 유몽인은 문화 중심국으로 중국을 인식하고 『어우집』에서는 특히 문물의 발달에 대해 부러움을 보였으며, 다른 요소에 있어서는 관조의 태도를 보였다. 『어우야담』에서는 중국의 옛 제도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현재 중국의 풍물은 비판하되 중국의 역사적 인물과 문장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추숭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정몽주는 중국 성리학을 전폭적으로 수용한 인물이며, 유몽인은 방외인적 입장을 견지한 인물로 평가되지만 중국인식 양상을 볼 때 정몽주는 보다 주체적인 입장에서 상대국으로서의 중국을 인식했다면, 유몽인은 문화와 문명의 중심이며, 조선을 도와준 은혜의 나라로 중국을 인식할 정도로 중국에 경도된 인식을 보여준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shed light on the differing views of Joseon literati Jeong Mong-ju and Yu Mong-in on China. While Jeong contributed to establishing Goryeo’s relations with Ming Dynasty as an envoy of Goryeo during the transition from Yuan to Ming, Yu liv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mjinwaeran)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and expressed his perceptions of China both in the collections of his works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s.
    Traveling abroad, one gets to focus on local “people” and “custom.” In those days, travelers also took interest in the “civilization” and “literature” of China that was the center of East Asian civilization. This study compares Jeong and Yu in those four aspects by looking into Jeong’s Poeunjip and Yu’s Eoujip and Eouyadam.
    As a diplomat, Jeong took the position of “criticizing” the people of China, of “envy” for the splendor of Chinese capital, that of “homogeneity” in regard to the use of the same Chinese letters, and that of “contemplation” for the exotic institutions and customs of China. In his collection of writings Eoujip, Yu expressed his envy for the developed civilization of China and showed an attitude of contemplation toward the kingdom’s other elements. In his Eouyadam, he criticized the current institutions and customs of China by placing importance on practices that preceded them and adopted an attitude of extreme worship for the historical figures and literary works of China.
    While Jeong fully embraced the Neo-Confucian beliefs of China, Yu maintained his position as an outsider. This paper's comparison of their perceptions of China shows that Jeong perceived China from a more independent standpoint, whereas Yu worshiped China so much that he considered China as the center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as a country that was in a higher position, to hold Joseon in fav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