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輓詩와 祭文을 통해 본 桐溪 鄭蘊에 대한 기억과 애도 (A Study on the memory and mourning of Donggye(桐溪) JeongOn(鄭蘊) Viewed through Mansi(輓詩)・Jemun(祭文))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輓詩와 祭文을 통해 본 桐溪 鄭蘊에 대한 기억과 애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4호 / 67 ~ 96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이 연구는『桐溪集』에 실린 제문과 만시를 통해 당대 사람들이 鄭蘊을 어떻게 애도하고 기억했는지 살펴본 것이다. 그가 활동했던 16세기 후반기에서 17세기 전반기는 사회적 · 정치적 변화가 분출하던 중요한 시기였다. 대외적으로 격변하는 상황 속에서 정온은 개인적으로도 굴곡진 삶을 살았다.
    정온은 영창대군이 피살되자 격렬한 상소를 올려,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그러한 유배생활은 인조반정이 일어날 때까지 10년 동안 이어졌다. 인조반정 후에는 광해군 때 절의를 지켰던 인물로 지목되어 淸要職을 역임하였다. 또한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척화론을 주장하였던 대표적인 인물이었기도 하다. 그는 청나라가 강화도를 함락하고 조선이 항복하기로 하자, 오랑캐에게 항복하는 수치를 참지 못하고 칼로 자결을 시도하였다. 목숨은 끊어지지 않았지만, 그는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덕유산에 들어가 생계를 자급하다가 죽었다. 그는 시대적 격변과 함께 굴곡진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강력한 사건들은 그를 기억하는 매개체가 되어 여러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을 수 있었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제문과 만시는 죽은 이를 애도하기 위해 창작하는 것으로,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죽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대상을 상정하여 쓰는 글이다. 또한 한 인물의 행적에 대한 것이기는 하나 감정 표출을 함께 드러낸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실용적 성격이 강하여 관습적으로 창작되는 경우도 많지만, 동일한 인물을 두고 집단적으로 창작했다는 점에서 한 인물의 삶의 흔적에 대한 유의미한 면모를 도출해낼 수 있기도 하다.
    『동계집』에는 50편이 넘는 만시과 제문이 실려 있는데, 주로 경상우도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물들이 많이 창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가 청요직을 역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직에서 만난 이들보다는 실제 지역적, 학파적 친연성을 가진 사람들이 창작한 작품이 많다는 점에서 상투적이고 관습적으로 창작된 작품보다는 보다 진솔한 감정을 표현해낸 것들이 많을 수 있었다. 그들은 정온의 사후, 그가 겪은 사건들을 중심으로 그를 기억하는 동시에 그의 삶이 재평가되어야함을 피력하는 한편, 그가 지켜온 가치를 기억하면서 지속되기를 바랐다. 이는 그의 죽음에 대한 애도가 단순히 사라짐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가 지녔던 가치에 대한 애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of the time mourned and remembered through the Mansi(挽詩) and Jemun(祭文) published in Donggyejip(『桐溪集』).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hen Jeong On(鄭蘊, 1569-1641) was active, it was an important period when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erupted. In the midst of externally turbulent situations, Jeong-on personally lived a crooked life.
    When Prince Yeongchang was killed, Jeong On filed a violent appeal and was placed on Jeju Island. Such exile lasted for 10 years until the outbreak of artificial rebellion. After King Injo's Rebellion, he was pointed out as a person who kept the temple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and served as an important official. He was also a representative figure who advocated the theory of eradication when the Manchu Invasion broke out. When the Qing Dynasty took Ganghwa-do(江華島) Island and Joseon(朝鮮) decided to surrender, he could not resist the shame of surrendering to the Orangkae(barbarians) and attempted to commit suicide with a knife. Fortunately, his life was not cut off, but after that, he retired from office and entered Mt. Deogyu and died while self-supporting himself. He lived a crooked life with the upheaval of the times. That's why these powerful events became a medium to remember him and remained in the memory of many people's memories.
    The sacrificial text and mansi targeted in this paper are created to mourn the dead, and have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written on the premise of a specific object for the dead. In addition, although it is about a person's behavior, it is characterized by revealing emotional expression together. However, it is often customarily created due to its strong practical nature,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a meaningful aspect of the traces of a person's life in that it was created collectively with the same person.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50 Mansi and Jemun were created by many characters mainly in the Gyeongsangudo(慶尙右道) area. Although he served in an important government post, there were many works created by people with real regional and academic ties than those who met in government posts, which could express more sincere emotions than conventional and conventional works. They wanted to continue by remembering him, focusing on the events he experienced after Jeong On's death, while expressing that his life should be reevaluated, while remembering the values he kept. It can be seen that the mourning for his death was not simply about disappearing, but about the value he h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