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탁(鄭琢)의 병법 수용 양상 연구 (Art of War(兵法) acceptance research aspects by Jeongtak(鄭琢))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4.06
25P 미리보기
정탁(鄭琢)의 병법 수용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5호 / 313 ~ 337페이지
    · 저자명 : 황만기

    초록

    중국의 병서가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고려시대부터 이미 있었고, 이를통해 조선 초기에 병서의 주해를 붙이고 우리나라 전쟁 사실 기록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병법서가 간행하였다. 게다가 선초 유학자들은 주공(周公)이래로 병학(兵學)이 유가(儒家)와 병존하였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병서가 유학자들의 필독서로 자리매김하기까지는 여전히 거리가있었다. 이런 병서는 임진왜란 이후 이해와 관심의 폭이 넓어져 더 이상 잡서가 아닌 실용학문으로 그 위상이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16세기 이래 조선의 유학자들은 시문(詩文)이나 경사(經史) 이외의 학문은 잡학(雜學)으로 치부하였다. 특히 병서(兵書), 천문, 지리서 등이 유학자들의 외면을 받아 왔다. 정탁은 푸대접의 학문인 병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두 차례의 중국 사행을 통해서 병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다.
    이는 당시 사회전반에 만연한 성리학중심의 일변도와는 그 궤도를 달리하는학문적 모습이었다. 그가 병법에 대한 수용적인 측면은 『무경총요』와 『기효신서』, 그리고 명나라 유학자 호환(胡煥)에게 보낸 편지에게 구체적인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정탁은 이들 병서 속에 담겨진 병법을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여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국가적 위난을 슬기롭게 극복하는데일익을 담당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유학자들은 병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더 이상 병서를 천시하지 않고 학문의 영역으로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왜구를 막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찬술된 『기효신서』는 학문의 한 영역으로 부상하기에이르렀으며, 이런 병법서들은 18세기 이후 실학 시대에 오면서 실용적인 학문으로 수용되었다.

    영어초록

    Since 16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regarded the fieldsof study other than poetry and prose, and Confucian classics andhistorical records as knowledge of miscellaneous matters. Inparticular, books on military science, astronomy and geology wereneglected by them. However, Jeongtak was very interested in militaryscience, which was being treated poorly. His acceptance of books onmilitary strategies began in full scale when holding the position of theMinistry of War, and he had his own insight into military strategiesbecause he accepted the practical study of Ming Dynasty through hisprivate trip to China twice. This academic attitude was different fromthe trend of those times centered on Neo-Confucianism whichprevailed in the society.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books of 『Mukyeongchongyo』 and 『Gihyosinseo』. Jeongtak understood thestrategies and tactics in those books properly and applied themeffectively, and therefore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Korea, the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began to care about militaryscience and accept it into the area of studies, rather than despised it.
    Particularly, 『Gihyosinseo』, which was edited for the purpose of fighting against Japan, even emerged as a field of studies, and thesebooks on military strategies were embraced as practical study in thetimes of Silhak sinc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