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혜암선사의 「용맹정진 법문」에 나타난 접화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Yongmaengjungjin-sermon of Hyeam Zen-Master)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2
25P 미리보기
혜암선사의 「용맹정진 법문」에 나타난 접화법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36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慧菴堂 性觀大宗師(1920∼2001)는 출가자의 본분으로 一種食과 長坐不臥로 치열하게 정진하였다. 또한 산중에 주석하면서도 재가인을 위해 오랫동안 접화활동을 지속하였다. 특히 해인사 원당암에 재가인을 위한 선원인 달마선원을 개설하고, 거기에서 재가인을 매주 둘째 주 토요일 철야정진과 안거의 마지막의 일주일 용맹정진을 직접 지도하였다.
    본고에서는 혜암이 달마선원에서 재가인을 위해 설한 <용맹정진 법문>에 나타난 그 접화법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혜암의 법어집 『집주 혜암대종사대중법어집 2 공부하다 죽어라』에는 15개의 「용맹정진 법문」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올바른 안목을 갖추어야 할 것, 화두공부로 정진할 것, 본성의 자각 내지 깨침을 추구하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가르침은 혜암이 게송을 곁들여서 재가인에게 강조했던 여러 가지 공안에 잘 드러나 있다. 그들 가운데 석공혜장의 활 쏘는 공안, 염관제안의 무소뿔 부채, 청림사건의 대사일번, 청봉전초의 생사일대사, 대주혜해의 自家寶藏, 백암의 道 등의 공안을 간추려 혜암이 지도하고 있는 가르침의 면모를 고찰한 것이다.
    혜암은 출가자만이 아니라 재가인에 대해서도 따로 구별을 두지 않았다. 특히 용맹정진에 임하는 상황에서는 출가와 재가가 따로 없고 오로지 화두의 참구에 매진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혜암이 보여준 재가인을 위한 접화법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수행에는 출가 및 재가가 없이 단지 生事一大事를 해결하기 위한 자세로서 대사일번의 각오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Hyeam zen-master was a monk who was devoted to take one meal alone a day(一種食) and to perform it only with a straight seat, never lying down(長坐不臥). He also lived in the mountains and continued his edification for a long time for secular people. He opened Dalmasonwon for the secular in Wondangam, Haeinsa temple, where he devoted himself to the secular all night on the second Saturday of each week.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fication method in Yongmaengjungjin-sermon, a preaching book of Hyeam zen-master. This Yongmaengjungjin-sermon is included in <Jipju Haeamdaejongsabupoejip 2 Dies Studying>. Yongmaengjungjin-sermon consists of 15 sermons. Summary of several topics are to have the right eye, devote yourself to studying Hwadu, to be aware of nature and to pursue enlightenment.
    Such teachings are well revealed in various anecdotes that Hyeam zen-master emphasized to secular people with verse poetry. Among them, Suckgonghyejang's bow-shooting anecdote, Yeoumgwanjean's no-short fan anecdote, Chunglimsagun's rebirth anecdote, Chungbongjuncho's the matter of birth and death is essential to one, and Backam's enlightenment anecdote were chosen to select Hyeam zen-master. The aspect of zen-master was examined.
    Hyeam zen-master did not discriminate against secular people as well as monks. Especially, in the performance of the bravery, there is no monk and secular person, and it emphasizes that only Hwadu should work hard. This figure belongs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edification method shown by Hyeam zen-master. The practice method showed that monks and secular people should be prepared for the rebirth in a posture to solve the matter of birth and death is essential to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